Summary

유방암 관련 림프 부종의 초음파 평가

Published: January 12, 2017
doi:

Summary

진단 및 추적 검사에 대한이 연구 활용 초음파 유방암 관련 림프 부종 (BCRL)에서 진보적 인 저항 운동 (PRE)의 치료 효능을 확인합니다. 초음파 진단 및 림프 부종의 치료를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있다.

Abstract

림프 부종은 유방암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이 림프 부종에 대한 다양한 진단 도구가 있지만 표준 방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진보적 인 저항 운동 (PRE)를 추가 붓기없이 림프 부종을 개선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근육 및 피하 조직의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림프 부종의 PRE의 치료 효과를 보였다. 피하 조직의 두께는 비 PRE 군보다 PRE기를 더 감소 하였다. 초음파 널리 때문에 쉬운 접근성, 안전성, 경제성의 많은 병원에서 사용된다. 초음파 진단 및 유방암 관련 림프 부종 (BCRL)에 치료 효과를 판정하기위한 최선의 도구 중 하나이다.

Introduction

림프 부종은 체액 저류 및 조직이 손상 림프 시스템 1, 2에 의해 단백질이 풍부한 인한 부종 지역화의 조건으로 정의된다. 림프 부종이 진행됨에 따라, 섬유 세포 및 / 또는 지방 세포는 피부와 피하 조직과 세균 및 진균 감염 3,4으로 증가 취약점의 질감의 변화를 선도하는, 영향을받는 지역에 확산. 사지의 여러 부분에서 이러한 변화의 관찰은 더 심각와 림프 부종의 정도를 규명 할 수있다. subfascial 림프 시스템은 더 epifascial 림프계보다 림프 부종의 정도에 기여한다.

최근의 연구는 주로 림프 부종 5,6의 진단에서 초음파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초음파는 연부 조직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법이다. 이전의 연구는 림프 부종 확실 t 비교하여 초음파 진단을 할 수 있다고보고그 피부 및 피하 조직의 두께 또한 임상 설정 7,8에서 피하 조직의 적합성을 평가함으로써. 또한, 초음파 검사가 널리 때문에 쉬운 접근성, 방사선 노출에 안전, 쌈 5,6의 병원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림프 부종에 대한 초음파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치료 적 개입의 평가에 진단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따라서, 현재의 연구에 BCRL PRE의 효과를 아는데 초음파의 유용성뿐만 아니라 결정하는 목표이지만 초음파 치료 효능을 확인의 후속 테스트와 같은 임상 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도. 본 연구는 림프 부종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 초음파에 대한 프로토콜을 확립 하였다.

Protocol

모든 절차를 검토하고 충남 대학교 병원의 임상 시험 심사위원회의 승인을했다. 초음파 1. 측정 환자의 자세를 설정합니다. 침대에 두 팔과 더불어, 앙와위에서 환자의 팔을 놓습니다. 환자의 상지의 측정 위치를 결정합니다. 손목 주름의 중간 지점에 마크 내측 팔꿈치의 수준 측면 epicondyles와 펜으로 bicipital 홈 사이의 중간 점. 펜을 사용하여 직?…

Representative Results

이 연구는 BCRL으로 진단 된 32 명의 환자를 포함했다. 근육 및 피하 조직 및 근위 및 원위 상지의 둘레의 두께는 기준선 4 주 및 PRE 후 8주 측정 하였다. 시험관 줄자와 상지의 둘레를 측정 한 다음, 근육 내 및 피하 조직의 두께를 초음파로 측정 하였다. 환자 임의로 PRE 기 및 비 PRE 그룹으로 나누었다. 참가자는 측정 및 평가 세션 전에 자신의 그룹 할당을 공개하지 않을 생각…

Discussion

BCRL의 평가는 팔 둘레 테이프 측정 물 변위 측정 bioimpedance 분광법 perometry (광전자 volumeter), 림프, 임상 진단, 또는 환자가 스스로보고 팽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 될 수있다. 그러나 BCRL의 측정에 대한 기준은 없습니다; 치료의 진단 기간 병원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있다.

임상 적으로, 줄자로 팔 둘레를 측정하는 가장 인기있는 편리한 방법입?…

Divulgation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acknowledge.

Materials

ACUSON S2000 Siemens 10041461
Eco Gel 99 Seung Won Medical Corp.

References

  1. Lasinski, B. B. Complete decongestive therapy for treatment of lymphedema.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9 (1), 20-27 (2013).
  2. Clark, B., Sitzia, J., Harlow, W. Incidence and risk of arm oedema follow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 a three-year follow-up study. Q J Med. 98 (5), 343-348 (2005).
  3. Hayes, S. C., Speck, R. M., Reimet, E., Stark, A., Schmitz, K. H. Does the effect of weight lifting on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differ by diagnostic method: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 Treat. 130 (1), 227-234 (2011).
  4. Fu, M. R., Ridner, S. H., Armer, J. Post-breast cancer lymphedema: part 1. Am J Nurs. 109 (7), 48-54 (2009).
  5. Rockson, S. G. Ultrasonography in the Evaluation of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Lymphatic Research and Biology. 14 (1), 1 (2016).
  6. Suehiro, K., et al. Significance of Ultrasound Examination of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in Secondary Lower Extremity Lymphedema. Ann Vasc Dis. 6 (2), 180-188 (2013).
  7. Lee, J. H., et al.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s of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in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Ann Rehabil Med. 37 (5), 683-689 (2013).
  8. DiSipio, T., Rye, S., Newman, B., Hayes, S. Incidence of unilateral arm lymphoedema after breast. Lancet Oncol. 14 (6), 500-515 (2013).
  9. Stanton, A. W., et al. Lymphatic drainage in the muscle and subcutis of the arm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Breast Cancer Res Treat. 117 (3), 549-557 (2008).
  10. Godoy, M. F. G., Pereira, M. R., Oliani, A. H., Godoy, J. M. P. Synergic Effect of Compression Therapy and Controlled Active Exercises Using a Facilitating Device in the Treatment of Arm Lymphedema. Int J Med Sci. 9 (4), 280-284 (2012).
  11. Cormie, P., Pumpa, K., Galvão, D. A., Turner, E., Spry, N., Saunders, C., Zissiadis, Y., Newton, R. U. Is it safe and efficacious for women with lymphedema secondary to breast cancer to lift heavy weights during exercis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 Cancer Surviv. 7 (3), 413-424 (2013).
  12. Bok, S. K., Jeon, Y., Hwang, P. S.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in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Lymphatic Research and Biology. 14 (1), 18-24 (2016).
  13. Milne, H. M., Wallman, K. E., Gordon, S., Courneya, K. S. Effects of a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 Treat. 108 (2), 279-288 (2008).
  14. Schmitz, K. H., et al. Weight lifting for women at risk for breast-cancer-related lymphedema. JAMA. 304 (24), 2699-2705 (2010).
  15. Kiel, K. D., Rademacker, A. W. Early-stage breast cancer: Arm edema after wide excision and breast irradiation. Radiology. (1), 279-283 (1996).
check_url/fr/54996?article_type=t

Play Video

Citer Cet Article
Jeon, Y., Beom, J., Ahn, S., Bok, S.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J. Vis. Exp. (119), e54996, doi:10.3791/54996 (2017).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