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노인을위한 평신도 직원에 의한 구강 건강 평가

Published: February 02, 2020
doi:

Summary

이 프로토콜의 목표는 비 치과 전문가가 연구 또는 건강 검진 목적으로 구강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평가 된 측면 포함 입술, 혀, 부드럽고 단단한 조직, 자연 및 인공 치아, 구강 청결, 플라크, 삼 키는, 그리고 삶의 질에 구강 건강의 영향.

Abstract

구강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에 종종 과소 평가 기여자. 그러나 문헌은 제II형 당뇨병,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등 구강 건강에 영향을 받는 수많은 전신 질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강 검진이라고 불리는 구강 건강 평가는 질병의 위험을 평가하고 질병을 관리하며 구강 관리에 의한 질병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시간 동안 신속하고 일관되게 구강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학생, 가족 및 간병인과 같은 비 구강 건강 전문가를 위해 충분히 간단합니다. 환자의 모든 나이에 유용, 방법은 염증과 만성 질환의 위험에 종종 노인 개인에 대 한 특히 키. 이 방법의 구성 요소는 구강 건강에 대한 포괄적 인 평가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 된 기존의 구강 건강 평가 척도 및 재고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가된 경구 특성은 구강 내 및 외구 조직, 연약하고 단단한 조직, 자연및 인공 적인 치아, 플라크, 삼키는 것과 같은 경구 기능 및 이 구강 건강 상태가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관찰자와 환자 모두의 측정 및 인식의 포함,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강 건강의 변화를 추적 할 수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획득 된 결과는 구강 건강 상태 점수에 대해 합산 할 수있는 설문지 및 구강 검진 항목의 정량적 합계입니다. 연속적인 경구 검열의 점수는 시간 저분에 걸쳐 구강 건강의 진행을 추적하고 구강 및 전반적인 건강 관리 둘 다를 위한 권고를 안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습니다.

Introduction

구강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구강 운동은 입에서 즉시 음식과 파편을 이동하는 역할을하며 타액의 보호 기능과 함께 구강 감염 및 충치에 대한 신체의 자연적인 방어메커니즘입니다 1. 구강 건강의 부족은 신체에 퍼질 수 있는 구강 병원체, 염증 및 감염의 축적에 매우 수그린 개인을 떠난다. 예를 들면, 타입 II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염증성 잇몸 질병인 치주염 개발의 고위험에 입니다. 그래서 치주염 환자는 치주 질환이 혈당조절에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타입 II 당뇨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2,3. 불쌍한 구강 건강은 심장병, 뇌졸중 및 골다공증을 포함하는 많은 추가적인 전신, 또는 신체 전반의 질병과 연결됩니다4,5,6.

구강 건강 상태에 대한 환자를 선별 할 필요성은 구강 질환 진단뿐만 아니라 전신 질환 위험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이것은 더 자주 선동적인 만성 조건을 개발하는 더 오래된 개별에서 특히 중요합니다6. 또한, 가난한 구강 건강은 사회적 고립, 탈수, 영양 실조를 낳습니다.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PD)과 같은 연약한 환자는 종종 부전 실어증을 일으키거나삼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7. 보기 흉한 침을 흘리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는 구강 박테리아가 실수로 폐로 삼켜질 수 있습니다. 흡인 성 폐렴은 노인의 일반적인 결과및 주요 사망원인8.

우리의 목표는 비 치과 전문가가 연구 또는 건강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있는 경구 선별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함께 구강 건강의 포괄적이고 편법 평가인 기존 구강 선별 도구의 편집을 설명합니다. 우리는 치과 학생들이 연구 연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환자 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주로 이러한 도구를 선택했습니다. 법적 제한은 학생(즉, 학위를 취득하지 않은, 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연수생)이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한합니다. 이 편집은 사전 교육을 받거나 보정된 학생이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간호사, 간병인 및 가족 구성원은 또한 고령자의 구강 건강 감시에 있는 이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일반 구강 건강 평가 지수(GOHAI)9,Radboud 구강 모터 인벤토리(ROMP)10,간략한 구강 건강 상태 검사(BOHSE)11및 단순화된 구강 위생 지수(OHI-S)12를포함한다. 평가된 구강 특성에는 구강 내 및 외구 용 적 구조, 부드럽고 단단한 조직, 자연 및 인공 치아, 플라크, 삼키는 것과 같은 구강 기능 및이 구강 건강 상태가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포함됩니다. 누구든지 이 구두 검진을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심지어 치과 훈련이나 치과 기구가 없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구강 검진의 간략한 특성을 통해 간병인과 연구원은 구강 건강의 변화를 시간 적 에 쉽게 추적 할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사람이이 구두 스크리닝을 관리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사실 외에도이 방법의 장점은 스크리너 및 자체 보고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구강 건강의 구체적인 측정은 환자의 기능적 및 정서적 인식과 협력 될 수 있습니다.

자기 보고 구성 요소 (그들의 구강 건강의 환자의 의견)

일반 구강 건강 평가 지수

GOHAI는 노인의 구강 건강 상태의 자체보고척도입니다 9. 이 설문조사는 구강 기능, 구강 통증 및 불편함, 심리사회적 영향을 평가하는 12개의 질문이있습니다(표 1). 200개 이상의 과학 간행물에서 구강 건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GOHAI 설문지는 치과 치료13의 규정에 민감하고 10 년14년 후에 주관적인 웰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간병인은 환자가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 GOHAI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15.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몇 가지 설문지가 존재합니다. 가장 인기있는 일일 공연에 구두 영향 (OIDP)16,구강 건강 영향 프로필 (OHIP)17,18,및 GOHAI. OIDP는 주파수와 엄격에 있는 8개의 매일 공연을 측정합니다 그러나 노인 환자를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지 않았습니다. OHIP는 원래 49 문 설문 조사로 설계 되었지만 나중에 14 문 (OHIP-14)19로단축되었습니다. 여러 연구는 OHIP-14와 GOHAI의 효과를 비교했다. 몇몇 연구는 높은 구강 건강 필요를 가진 노인이 GOHAI로 더 잘 식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지만, 모든 평가는 모두 비교결론, GOHAI는 구두 기능의 객관적인 값에 더 민감 할 수있다20,21,22,23,24,25,26. 따라서, 우리는 OHIP-14를 통해 GOHAI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Radboud 구강 모터 인벤토리의 서브 스케일을 삼키는

부전 실어증 (삼키는 어려움) 일반적으로 근육 위축 으로 인해 노인 인구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것은 75 세 이상 노인의 35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영양 실조 및 흡인 폐렴27의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영향을 받는 환자의 비율은 50% 이상으로 증가하는 환자는 신경 장애(예를 들어,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뇌졸중 등)가 있는 경우28. 부전 실어증의 대부분의 객관적인 측정은 노인을 위해 너무 침략적이다, 또는 전문의의 전문 을 필요로 (즉, 임상 또는 음성 및 언어 병리학자) 뿐만 아니라 전문 장비 (즉, 내시경 또는 비디오 플루오로스코프). 따라서, 검증된 자기 평가 설문지를 사용하는 것은 학생이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간병인이 전문가에게 소개를 위해 환자에서 부전 실어증을 신속하게 평가해야 할 때 좋은 대안입니다.

부전 실어증에 대한 22 개 이상의 자가 평가 설문지가 있으며, 각 환자는29,30,31,32의특정 유형에 대해 특정합니다. 가장 포괄적이고 대중적인 것은 신경 퇴행성 무질서를 가진 환자를 포함하여 환자의 많은 다른 모형을 위해 디자인된 삼키는 삶의 질 (SWAL-QOL) 설문지33입니다. 그러나, 이 설문지는 44 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다소 길다.

환자는 특히 환자가 나이 관련 무질서를 겪고 있는 경우에,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설문지의 건전지에 응답하고 긴 세션을 위해 앉아 압도될 수 있습니다. ROMP는 원래 PD10환자의 부전 실어증, 시로루레아 및 음성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ROMP의 삼키는 부분은 5점 리커트 척도 응답 옵션(표2)이있는 7개의 질문으로 구성됩니다. 그것은 짧은 시간에 심지어 연약한 노인에서 관리 될 수있다. 따라서, 이러한 컴파일은 ROMP의 삼킬 부분을 포함한다. 연구 목적을 위해, 조사자는 그들의 연구 목표에 가장 적합한 옵션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삼키는 평가 설문 조사를 평가 할 수있다32.

스크리너 구성 요소 (환자의 구강 건강의 스크리너 등급)

간략한 구강 건강 상태 검사 및 간소화된 구강 위생 지수

구강 건강은 수년에 걸쳐 개선되었으며, 더 많은 노인들이 치아를 유지하고 따라서 지난 수십 년 동안 구강 관리가 필요합니다34,35. 이 인구의 특정 분야는, 그러나, 나쁜 구강 건강으로 남아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고령자 및 노인관련 질환은 충치(즉, 충치), 치은염, 플라크 축적, 의치 문제 및 점막 병변36,37,38,39를포함하는 구강문제가 만연하고 있다. 이상적으로, 노인은 적어도 일년에 두 번 치과 방문을 가지고 장기 치료 시설에 입원시,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구강 건강 평가의 마지막 두 구성 요소는 구강의 관찰을 사용하지만 치과 전문 지식이나 전문 치과 기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몇몇 구강 건강 평가는 구강 건강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신도 또는 경험이 없는 사람을 위해 디자인됩니다. 일일 구강 위생(ADOH)의 활동에 대한 지표는 구강 위생을 수행하는 신체적 능력에 대한 평가이며, 노인 개인의 완전한 치실, 칫솔질, 국소 불소 적용 및 구강 헹구40을평가한다. 이 도구는 노인에 의해 구강 위생 용량의 점진적 손실을 기록 하는 좋은 옵션, 그것은 구두 상태를 평가 하지 않습니다 하 고 참여 하 고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간호 인력을 위한 구강 건강 검열 공구 (OHSTNP)는 최근에 간행되고41를유효시켰습니다. 이 구두 선별 도구에는 BOHSE와 매우 유사한 많은 항목을 포함하여 12 개의 항목이 있습니다. 검열은 식사 섭취량과 삼키는 동안 기본적인 영양 및 경구 기능의 평가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다른 연구는 그 타당성을 확증하지 않습니다. 구강 건강 평가 도구 (OHAT)는 BOHSE에서 파생 된 8 항목 도구로 치매환자 42를포함하여 장기 치료 거주자의 구강 건강을 선별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BOHSE(표 3)를포함하며, 잘 확립되고, 신뢰할 수 있고, 검증되며 평신도 인력11,42,43에의해 사용될 수 있다. 플라크 축적의 측정을 포함하기 위해 간호사, 간병인 및 건강 학생이 치과 면허 제한12,44를방해하지 않고 쉽게 파편 지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수정된 OHI-S(표4)를추가했습니다.

이 4개의 구강 건강 평가는 간호사와 간병인이 치과를 참조하기 전에 가정, 장기 치료 또는 병원에서 구강 건강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짧고 쉬운 평가 도구로 구성됩니다. 전문. 이 편집은 또한 연구와 환자 상호 작용에 건강 학생을 참여시키는 데 유용하다, 특히 성장하는 노인 인구에 대한 미래의 치과 전문가 치료를 돕는.

Protocol

휴스턴에 있는 텍사스 건강 과학 센터의 기관 검토 위원회 (IRB)는 여기에서 기술된 모든 방법을 승인했습니다. 1. 일반 권장 사항 시간이 허락하는 경우에, 이 환자의 피로 및 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그(것)들 사이 휴식과 함께 설문지 및 구강 건강 평가를 완료하십시오. 스크리너와 환자 사이의 교감과 신뢰를 만들기 위해 설문지로 시작하여 스크리너가 환자…

Representative Results

구강 건강 평가 도구의 이 편집은 다른 노인 인구에서 평가되었습니다. 치매 환자 1명(D-06)을 선택하여 간병인에 의한 노인의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시연하였다. 모든 환자는 등록하기 전에 동의서에 서명하고 연구는 IRB 승인을 가지고. 네 가지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 평가환자 D-06은 GOHAI 설문지를 완료하…

Discussion

여기에서 우리는 구강 건강을 평가하기 위하여 넓게 접근하고 포괄적인 방법론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도구에는 GOHAI9,ROMP10의삼키는 하위 척도, BOHSE11및 OHI-S12가포함됩니다. 현재 치과 의사, 치과 치료사, 치과 위생사 및 치과 조수와 같은 구강 건강 전문가는 거의 독점적으로 구강 건강을 평가합니다. 그(것)들은 고급 검열 및 …

Divulgation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미국 파킨슨 병 협회는이 작품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Materials

Hurriview Plaque Indicating Snap-n-Go Swabs Henry Schein 916553
Non-latex examination gloves VWR 76246-462 any vendor will do; optional if you use only tongue depressor to touch the mouth
Small flashlight or pen light (Energizer LED Pen Flashlight) VWR 500033-336 any vendor will do; unnecessary, but helpful
Sterile, individually wrapped tongue depressor VWR 500011-108 any vendor will do

References

  1. Dawes, C., et al. The functions of human saliva: A review sponsored by the World Workshop on Oral Medicine VI. Archives of Oral Biology. 60 (6), 863-874 (2015).
  2. Lakschevitz, F., Aboodi, G., Tenenbaum, H., Glogauer, M.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s: Interplay and Links. Current Diabetes Reviews. 7 (6), 433-439 (2011).
  3. Borgnakke, W. S., Ylöstalo, P. V., Taylor, G. W., Genco, R. J. Effect of periodontal disease on diabetes: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ic observational evidence.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40, S135-S152 (2013).
  4. Bahekar, A. A., Singh, S., Saha, S., Molnar, J., Arora, R.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eriodontitis: a meta-analysis. American Heart Journal. 154 (5), 830-837 (2007).
  5. Sfyroeras, G. S., Roussas, N., Saleptsis, V. G., Argyriou, C., Giannoukas, A. D.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troke. Journal of Vascular Surgery. 55 (4), 1178-1184 (2012).
  6. Tavares, M., Lindefjeld Calabi, K. A., San Martin, L. Systemic diseases and oral health.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58 (4), 797-814 (2014).
  7. Takizawa, C., Gemmell, E., Kenworthy, J., Speyer, R.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alence of Oropharyngeal Dysphagia in Stroke, Parkinson’s Disease, Alzheimer’s Disease, Head Injury, and Pneumonia. Dysphagia. 31 (3), 434-441 (2016).
  8. Scannapieco, F. A., Shay, K. Oral Health Disparities in Older Adults.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58 (4), 771-782 (2014).
  9. Atchison, K. A., Dolan, T. A.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ournal of Dental Education. 54 (11), 680-687 (1990).
  10. Kalf, J. G., et al.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patient-rated assessment of speech, swallowing, and saliva control in Parkinson’s diseas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 (7), 1152-1158 (2011).
  11. Kayser-Jones, J., Bird, W. F., Paul, S. M., Long, L., Schell, E. S. An instrument to assess the oral health status of nursing home residents. Gerontologist. 35 (6), 814-824 (1995).
  12. Greene, J. G., Vermillion, J. R. The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68 (1), 7-13 (1964).
  13. Dolan, T. A. The sensitivity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to dental care. Journal of Dental Education. 61 (1), 37-46 (1997).
  14. Klotz, A. L., et al.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a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A decade-long longitudinal cohort study.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46 (6), 631-638 (2018).
  15. Zhu, H. W., McGrath, C., McMillan, A. S., Li, L. S. W. Can caregivers be used in assess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hospitalized for acute medical condition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6 (1), 27-33 (2008).
  16. Adulyanon, S., Shieham, A. Oral Impacts on daily performances. Measuring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152-160 (1997).
  17. Slade, G. D., Spencer, A. 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al Health. 11 (1), 3-11 (1994).
  18. Locker, D., Allen, F. What do measure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5 (6), 401-411 (2007).
  19. Slade, G. 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5 (4), 284-290 (1997).
  20. Gokturk, O., Yarkac, F. U. Comparison of two measures to determin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with periodontal disease. Community Dental Health. 36 (2), 143-149 (2019).
  21. Locker, D., Matear, D., Stephens, M., Lawrence, H., Payne, B. Comparison of the GOHAI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9 (5), 373-381 (2001).
  22. Hassel, A. J., Steuker, B., Rolko, C., Keller, L., Rammelsberg, P., Nitschke, I.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Germans–comparison of GOHAI and OHIP-14. Community Dental Health. 27 (4), 242-247 (2010).
  23. Osman, S. M., Khalifa, N., Alhajj, M. N. Validation and comparison of the Arabic versions of GOHAI and OHIP-14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denture experience. BMC Oral Health. 18 (1), 1-10 (2018).
  24. Ikebe, K., et al. Comparison of GOHAI and OHIP-14 measures in relation to objective values of oral function in elderly Japanes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40 (5), 406-414 (2012).
  25. El Osta, N., et al. Comparison of the OHIP-14 and GOHAI as measures of oral health among elderly in Lebanon.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0 (1), 1 (2012).
  26. Rodakowska, E., Mierzyńska, K., Bagińska, J., Jamiołkowski, J. Quality of life measured by OHIP-14 and GOHAI in elderly people from Bialystok, north-east Poland. BMC Oral Health. 14 (1), 1-8 (2014).
  27. Altman, K. W., Richards, A., Goldberg, L., Frucht, S., McCabe, D. J. Dysphagia in Stroke,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Advanced Dementia.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46 (6), 1137-1149 (2013).
  28. Roden, D. F., Altman, K. W. Causes of dysphagia among different age group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46 (6), 965-987 (2013).
  29. Alali, D., Ballard, K., Vucic, S., Bogaardt, H. Dysphagia in Multiple Sclerosis: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the DYMUS Questionnaire. Dysphagia. 33 (3), 273-281 (2018).
  30. Behera, A., et al. A Validated Swallow Screener for Dysphagia and Aspira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7 (7), 1897-1904 (2018).
  31. Diniz, J. G., da Silva, A. C., Nóbrega, A. C. Quality of life and swallowing questionnaire for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53 (4), 864-874 (2018).
  32. Patel, D. A., et al.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in dysphagia: a systematic review of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Diseases of the Esophagus. 30 (5), 1-23 (2017).
  33. McHorney, C. A., et al. The SWAL-QOL and SWAL-CARE Outcomes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III. Document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Dysphagia. 17 (2), 97-114 (2002).
  34. Friedman, P. K., Kaufman, L. B., Karpas, S. L. Oral Health Disparity in Older Adults.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58 (4), 757-770 (2014).
  35. Griffin, S. O., et al. Changes in Older Adults’ Oral Health and Disparities: 1999 to 2004 and 2011 to 2016.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7 (6), 1152-1157 (2019).
  36. Rozas, N. S., Sadowsky, J. M., Jeter, C. B. Strategies to improve dental health in elderly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48 (4), 236-245 (2017).
  37. Critchlow, D. Part 3: Impact of systemic conditions and medications on oral health.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22 (4), 181-190 (2017).
  38. Weening-Verbree, L., Huisman-de Waal, G., van Dusseldorp, L., van Achterberg, T., Schoonhoven, L. Oral health care in older people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 systematic review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 (4), 569-582 (2013).
  39. Reed, R., Broder, H. L., Jenkins, G., Spivack, E., Janal, M. N. Oral health promotion among older persons and their care providers in a nursing home facility. Gerodontology. 23 (2), 73-78 (2006).
  40. Bauer, J. G. The index of ADOH: concept of measuring oral self-care functioning in the elderly. Special Care in Dentistry. 21 (2), 63-67 (2001).
  41. Tsukada, S., Ito, K., Stegaroiu, R., Shibata, S., Ohuchi, A. An oral health and function screening tool for nursing personnel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o identify the need for dentist referral without preliminary training. Gerodontology. 34 (2), 232-239 (2017).
  42. Chalmers, J. M., Pearson, A. A systematic review of oral health assessment by nurses and carers for residents with dementia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Special Care in Dentistry. 25 (5), 227-233 (2005).
  43. Chen, C. C. H. The Kayser-Jones Brief Oral Health Status Examination (BOHSE). ORL-head and neck nursing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 and Head-Neck Nurses. 27 (2), 14-15 (2009).
  44. da Silva, D. D., da Silva Gonçalo, C., da Luz Rosário de Sousa, M., Wada, R. S. Aggregation of plaque disclosing agent in a dentifrice. Journal of Applied Oral Science. 12 (2), 154-158 (2004).

Play Video

Citer Cet Article
Rozas, N. S., Sadowsky, J. M., Stanek, J. A., Jeter, C. B. Oral Health Assessment by Lay Personnel for Older Adults. J. Vis. Exp. (156), e60553, doi:10.3791/60553 (2020).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