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시험관 내에서 인간 망막 모세포종 재건

Published: October 11, 2022
doi:

Summary

우리는 인간 배아 줄기 세포 (hESC)에 이중 대립 유전자 RB1 돌연변이를 도입하여 인간 망막 모세포종 (RB)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RB 세포주는 또한 접시에서 단리된 RB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배양될 수 있었다.

Abstract

인간 RB는 소아암으로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면 치명적입니다. RB는 설치류 모델에서 비교적 드문 원뿔 전구체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인간과 설치류의 종간 차이와 관련하여 인간에서 파생 된 질병 모델은 인간 RB의 메커니즘을 밝히고 치료 대상을 찾는 데 더 유리합니다. 본원에서, 프로토콜은 각각 이대립유전자 RB1 점 돌연변이(RB1 Mut/Mut) 및 RB1 녹아웃 돌연변이(RB1/-)를 갖는 2개의 유전자 편집된 hESC 계통의 생성을 기술한다. 망막 발달 과정에서 RB의 형성이 관찰됩니다. RB 세포주는 또한 RB 오가노이드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확립된다. 전체적으로 2D 및 3D 결합 분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유전자 편집 hESC 라인을 망막 오가노이드로 분화함으로써 우리는 접시에서 인간 RB를 성공적으로 재구성하고 원뿔 전구체 기원을 확인했습니다. 망막 모세포종의 발생, 증식 및 성장을 관찰하고 새로운 치료제를 추가로 개발하는 데 유용한 질병 모델을 제공 할 것입니다.

Introduction

인간 망막 모세포종 (RB)은 망막 원뿔 전구체 1,2,3에서 유래 한 희귀하고 치명적인 종양이며, 어린 시절에 가장 흔한 유형의 안구 내 악성 종양입니다4. RB1 유전자의 동형접합체 불활성화는 RB5에서 개시되는 유전적 병변이다. 그러나, RB1 돌연변이를 갖는 마우스는 망막 종양2를 형성하지 못한다. 마우스 종양은 Rb1 돌연변이 및 다른 유전자 변형의 조합으로 생성 될 수 있지만, 여전히 인간 RB6의 특징이 부족합니다. 망막 오가노이드 분화의 발달 덕분에, 인간 RB1의 특성을 나타내는 hESC 유래 RB를 얻을 수 있었다.

망막 오가노이드 분화를 위한 수많은 프로토콜이 지난 10년 동안 확립되었으며, 여기에는 2D7, 3D8, 2D 및 3D9의 조합이 포함됩니다. 인간 RB를 생성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부착 문화와 부유 문화의 통합입니다9. RB1 돌연변이 된 hESC를 망막 오가노이드로 분화시킴으로써 RB의 형성은 약 45 일에 검출 된 다음 약 60 일에 빠르게 증식합니다. 90일째에, RBs의 단리 및 RB 세포주의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RB는 120일째에 거의 모든 망막 오가노이드를 둘러싸고 있다.

hESC 유래 RB는 RB의 기원, 종양 발생 및 치료법을 탐구하기 위한 혁신적인 모델입니다. 이 프로토콜에서는 유전자 편집 hESC의 생성, RB의 분화 및 RB에 대한 특성화가 상세히 설명된다.

Protocol

이 연구는 수도 의과 대학 베이징 통렌 병원의 기관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H9 hESC는 와이셀 연구소에서 입수합니다. 1. RB1 돌연변이 hESC의 생성 RB1의 녹아웃(KO)에 대한 CRISPR/Cas9 표적 벡터. 한 쌍의 sgRNA를 설계합니다. RB1의 절제를 위해, 이 유전자의 첫 번째 엑손을 표적으로 한다. 정방향 프라이머 서열은 CACCGCGGTGGCGGCCGTTTTTCGGG이고, ?…

Representative Results

RB 생성 절차는 부착 및 부유 배양을 결합한 그림 1에서 설명됩니다. hESC로부터 인간 RB1-KO를 수확하고, RB 오가노이드를 단리함으로써 RB 세포주를 수득할 수 있었다. 여기서 프로토콜은 다양한 단계의 차별화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그림 2). 속이 빈 구체는 처음 3일 동안 형성되어 배양 표면에 부착된 다음 확장됩니다…

Discussion

인간 망막 모세포종 (RB)은 RB1 의 불 활성화와 Rb 단백질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프로토콜에서 RB1-KO hESC는 접시에서 RB를 생성하는 중추적인 단계입니다. RB1-/- hESC를 사용하더라도 망막 오가노이드 분화 방법으로 인해 RB 형성이 없을 가능성이 있습니다10. 이 프로토콜에서 순응 문화에서 부유 문화로의 이전은 차별화 과정에서 필수적입니다…

Divulgation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모든 도움을 주신 502 팀에 감사드립니다. 이 연구는 Beijing Municip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Z200014)과 National Key R & D Program of China (2017YFA0105300)의 지원을 부분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Materials

2-mercaptoethanol Life Technologies 21985-023
Anti-ARR3 Sigma HPA063129 Antibody
Anti-CRX (M02) Abnove ABN-H00001406-M02 Antibody
Anti-Ki67 Abcam  ab15580 Antibody
Anti-Syk (D3Z1E) Cell Signaling Technology 13198 Antibody
BbsI NEB R3539S Restriction enzymes
Dispase (1U/mL) Stemcell Technologies 7923
DMEM basic Gibco 10566-016
DMEM/F-12-GlutaMAX Gibco 10565-042
DMSO Sigma D2650
DPBS Gibco C141905005BT
EDTA Thermo 15575020
Fetal Bovine Serum (FBS), Qualified for Human Embryonic Stem Cells Biological Industry 04-002-1A
Glutamine Gibco 35050-061
Ham's F-12 Nutrient Mix (Hams F12) Gibco 11765-054
MEM Non-essential Amino Acid Solution (100X) Sigma M7145
Neurobasal Medium Gibco 21103-049
P3 Primary Cell 4D-Nucleofector X Kit S Lonza V4XP-3032 Nucleofection kit
Pen Strep Gibco 15140-122
Puromycin Gene Operation ISY1130- 0025MG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 28104
ncEpic-hiPSC/hESC culture medium Nuwacell RP01001 ncEpic-hiPSC/hESC culture medium in 1.2.1
Growth factor reduced basement membrane matrix BD 356231 Matrigel in 1.2.1
Cell dissociation enzyme Gibco 12563-011 TrypLE Express in 1.2.8
RNeasy Midi Kit QIAGEN 75144
RNeasy Mini Kit QIAGEN 74104
Supplement A Life Technologies 17502-048 N-2 Supplement (100X), liquid, supplemet in medum I
Supplement B Life Technologies 17105-041 B-27 Supplement (50X),liquid, supplemet in medum I,II,III
T4 Polynucleotide Kinase Life Technologies EK0032
Taurine Sigma T-8691-25G
Y-27632 2HCl Selleck S1049
pX330-U6- Chimeric BB-CBh-hSpCas9-2A-Puro Addgene 42230
Nucleofector 4D Lonza
RPMI Sigma R0883-500ML

References

  1. Liu, H., et al.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organoid retinoblastoma reveals a cancerous orig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7 (52), 33628-33638 (2020).
  2. Singh, H. P., et al. Developmental stage-specific proliferation and retinoblastoma genesis in RB-deficient human but not mouse cone precurso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5 (40), 9391-9400 (2018).
  3. Xu, X. L., et al. Rb suppresses human cone-precursor-derived retinoblastoma tumours. Nature. 514 (7522), 385-388 (2014).
  4. Mendoza, P. R., Grossniklaus, H. E. The biology of retinoblastoma. Progress in Molecular Biology and Translational Science. 134, 503-516 (2015).
  5. Benavente, C. A., Dyer, M. A. Genetics and epigenetics of human retinoblastoma. Annual Review of Pathology. 10, 547-562 (2015).
  6. Wu, N., et al. A mouse model of MYCN-driven retinoblastoma reveals MYCN-independent tumor reemergence.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27 (3), 888-898 (2017).
  7. Boucherie, C., Sowden, J. C., Ali, R. R.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technology for generating photoreceptors. Regenerative Medicine. 6 (4), 469-479 (2011).
  8. Nakano, T., et al. Self-formation of optic cups and storable stratified neural retina from human ESCs. Cell Stem Cell. 10 (6), 771-785 (2012).
  9. Lowe, A., Harris, R., Bhansali, P., Cvekl, A., Liu, W. Intercellular adhesion-dependent cell survival and rock-regulated actomyosin-driven forces mediate self-formation of a retinal organoid. Stem Cell Reports. 6 (5), 743-756 (2016).
  10. Zheng, C., Schneider, J. W., Hsieh, J. Role of RB1 in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retinal organoids. Biologie du développement. 462 (2), 197-207 (2020).
  11. Dimaras, H., Corson, T. W. Retinoblastoma, the visible CNS tumor: A review.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97 (1), 29-44 (2019).
  12. Xu, X. L., et al. Retinoblastoma has properties of a cone precursor tumor and depends upon cone-specific MDM2 signaling. Cell. 137 (6), 1018-1031 (2009).
  13. Qi, D. L., Cobrinik, D. MDM2 but not MDM4 promotes retinoblastoma cell proliferation through p53-independent regulation of MYCN translation. Oncogene. 36 (13), 1760-1769 (2017).
check_url/fr/62629?article_type=t

Play Video

Citer Cet Article
Zhang, X., Jin, Z. Reconstruct Human Retinoblastoma In Vitro. J. Vis. Exp. (188), e62629, doi:10.3791/62629 (2022).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