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선천성 담즙종에 대한 로봇 보조 경관 내시경 귀 수술

Published: December 15, 2023
doi:

Summary

이 프로토콜은 양손 접근법과 로봇 내시경 홀더를 사용한 최소 침습 경관 내시경 귀 수술을 사용하여 선천성 진주종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bstract

선천성 진주종은 소아 진주종 사례의 25%를 차지합니다. 경관 내시경 귀 수술(TEES)은 중이의 넓은 내시경 시야와 최소 침습적 접근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에게 이상적입니다. 두 가지 주요 한계는 어린 아이들의 수술 손 하나와 좁은 외이도를 잃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등골의 인커스와 가지에 부착된 Potsic 3기 선천성 진주종을 가진 3세 환자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로봇 보조 TEES 시술이 수행되었으며, 그 동안 자유도가 6인 로봇 팔이 0°, 2.9mm 너비의 내시경을 잡고 외과의가 좁은 환경에서 양손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시술 시간은 2시간 9분이었으며, 로봇 팔을 설치하고 드레이핑하는 데 16분이 걸렸습니다. 근관 횡단 접근법 후, 이소골을 안정화하고 청력 외상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바늘(또는 낫 칼)과 흡입을 모두 사용하여 이소골에서 진주종을 절개했습니다. 진주종은 크기를 줄이기 위해 부피를 줄여 전방 말레우스 아래로 밀어 넣은 다음 제거하기 전에 다른 부착물과 분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고막을 강화하기 위해 비극적 연골 이식편이 사용되었습니다.

Introduction

선천성 진주종(congenital cholesteamatoma, CC)은 소아 진주종 사례의 25%를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공중 보건 조치의 개선과 조기 발견으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진주종 사례에서 그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1,2. CC의 크기와 이소골 침범은 예후와 수술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결과적으로, CC는 Potsic 분류3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조기에 진단되면 이러한 병변은 일반적으로 고막강에 국한되거나 이소골을 포함하거나(Potsic stage III) 그렇지 않거나(Potsic stage I 또는 II) 온전한 기질로 상피판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더 진행된 경우, CC와 후천성 진주종을 구별하는 것은 상피 또는 유양돌기 영역의 확산성 병변과 고막 변형(Potsic stage IV)으로 인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유양돌기 침범이 없는 CC 환자(Potsic stage I – III)는 최소 경관 절개를 포함하고 전체 고막강 및 외피 부위를 잘 볼 수 있는 전체 내시경 귀 수술(TEES)의 훌륭한 후보가 됩니다. 수많은 연구에서 TEES가 기존의 현미경 접근법 4,5,6,7,8,9에 비해 유사한 잔류율을 산출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TEES는 전 세계 많은 소아 이과 센터에서 채택되어 외과 의사의 인체 공학을 향상시키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술을 제공하여 화면을 보면서 똑바로 앉을 수 있도록 합니다 5,7,8,10. 그러나 TEES 기간 동안 3기 병변에서는 기구를 중침으로 사용할 때 역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소골을 안전하게 절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과도한 이소골 가동으로 인한 이소골 아탈구 및 내이 외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부 중 흡입이 부족하면 출혈이나 내시경 김서림으로 인해 시야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중이 수술 및 인공와우 이식을 위해 설계된 로봇 팔이 로봇 동적 내시경 홀더로 사용되어 시술 전반에 걸쳐 3개의 병진 축과 3개의 회전 축을 포함하여 6개의 자유도를 제공합니다. 로봇을 이용한 TEES 중 안전성은 이미 성인 인구11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이 기사는 로봇 보조 TEES를 사용하여 3세 아동의 3기 선천성 진주종에 대한 로봇 설정 및 수술 절차를 보고합니다. 이 접근법은 두 손으로 진주종을 해부할 수 있게 해주면서 내시경적 관점과 경관 접근법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Protocol

이 연구는 유럽 GDPR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AP-HP, Hôpital Necker – Enfants Malades(번호 20200727144143)에 등록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CARE 가이드라인12을 준수하였으며, 양쪽 부모 모두 수술 영상을 녹화하고 증례 보고서를 출판하는 데 서면 동의서를 제출했다13,14. 수술 전략은 3차 진료 의뢰 센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양손?…

Representative Results

사례 연구는 3세 어린이의 Potsic 3기 좌측 선천성 진주종에 대한 로봇 보조 전체 내시경 귀 수술(TEES)을 보고합니다. 로봇 팔에는 0° 및 30°, 길이 25cm, 너비 2.9mm가 장착되어 있으며 1080p 풀 HD 카메라 및 화면에 연결되었습니다. 수술 전 정밀 검사에서 전형적인 선천성 진주종(congenital cholesteama)이 발견되었고, CT 스캔에서는 척추뼈 중추 사이와 전방으로 후관상부 오목부까지 확장?…

Discussion

이 연구는 3세 어린이의 3기 선천성 진주종을 제거하기 위해 로봇을 이용한 완전 내시경 시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했다고 보고합니다. 귀 내시경 전치술(TEES)은 특히 소아 인구에서 흥미로운데, 열쇠 구멍 경관 접근법으로 고막 성형술을 시행하면 치유 시간과 수술 후 즉각적인 치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진주종 수술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에서 TEES가 현미경적 귓바퀴 후 또는 내청 접근법과…

Divulgation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저자는 프랑스 바뉴(Bagneux)의 Collin Medical과 APHP의 Hôpital Necker – Enfants Malades에서 RobOtol 인수에 자금을 지원해 준 la Fondation des Gueules Cassées에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Materials

0° 2.9 mm 25 cm Endoscope Collin RBT-END-0 Endoscope for otoendoscopy
Colorado MicroDissection Needle Stryker Pointed electrocautery
Facial nerve monitoring
RobOtol Collin Robot dedicated to ear surgery
Space mouse 3DConnexion RobOtol control arm
Standard otology surgical material Including amongst standard instruments: speculum, Fisch dissectors

References

  1. Denoyelle, F., et al. International Pediatric Otolaryngology Group (IPOG) consensus recommendations: Congenital Cholesteatoma. Otology & Neurotolog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Otological Society, American Neurotology Society [and] European Academy of Otology and Neurotology. 41 (3), 345-351 (2020).
  2. Distinguin, L., et al. Malformations associated with pediatric congenital cholesteatomas. Otology & Neurotolog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Otological Society, American Neurotology Society [and] European Academy of Otology and Neurotology. 41 (9), e1128-e1132 (2020).
  3. Potsic, W. P., Samadi, D. S., Marsh, R. R., Wetmore, R. F. A staging system for congenital cholesteatoma. Archives of Otolaryngology – Head & Neck Surgery. 128 (9), 1009-1012 (2002).
  4. Choi, Y., Kwak, M. Y., Kang, W. S., Chung, J. W. Endoscopic ear surgery for congenital cholesteatoma in children.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Advanced Otology. 18 (3), 236-242 (2022).
  5. Jang, H. B., et al. Treatment results for congenital cholesteatoma using transcanal endoscopic ear surgery.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43 (5), 103567 (2022).
  6. McCabe, R., Lee, D. J., Fina, M. The Endoscopic Management of Congenital Cholesteatoma.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54 (1), 111-123 (2021).
  7. Park, J. H., Ahn, J., Moon, I. J. Transcanal endoscopic ear surgery for congenital cholesteatoma.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11 (4), 233-241 (2018).
  8. Zeng, N., et al. Transcanal endoscopic treatment for congenital middle ear cholesteatoma in children. Médecine. 101 (29), e29631 (2022).
  9. Remenschneider, A. K., Cohen, M. S. Endoscopic management of congenital cholesteatoma. Operative Techniques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8 (1), 23-28 (2017).
  10. Dixon, P. R., James, A. L. Evaluation of residual disease following transcanal totally endoscopic vs postauricular surgery among children with middle ear and attic cholesteatoma. JAMA Otolaryngology – Head & Neck Surgery. 146 (5), 408-413 (2020).
  11. Veleur, M., et al. Robot-assisted middle ear endoscopic surgery: preliminary results on 37 patients. Frontiers in Surgery. 8, 740935 (2021).
  12. Gagnier, J. J., et al. The CARE guidelines: consensus-based clinical case reporting guideline development. BMJ Case Reports. 2013, bcr2013201554 (2013).
  13. Simon, F., Jankowski, R., Laccourreye, O. Consent and case reports. European Annals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Diseases. 139 (4), 175-176 (2021).
  14. Simon, F., Laccourreye, O., Jankowski, R., Maisonneuve, H. Videos in otorhinolaryngology. European Annals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Diseases. 138 (5), 325-326 (2020).
  15. Gyo, K., Sasaki, Y. Solubilization of keratin debris in conservative treatment of middle ear cholesteatoma: an in vitro study.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08 (2), 113-115 (1994).
  16. Khan, M. M., Parab, S. R. Endoscopic cartilage tympanoplasty: A two-handed technique using an endoscope holder. The Laryngoscope. 126 (8), 1893-1898 (2016).
  17. Khan, M. M., Parab, S. R. Novel concept of attaching endoscope holder to microscope for two handed endoscopic tympanoplasty. Indian Journal of Ot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of Otolaryngologists of India. 68 (2), 230-240 (2016).
  18. De Zinis, L. O. R., Berlucchi, M., Nassif, N. Double-handed endoscopic myringoplasty with a holding system in children: Preliminary observ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96, 127-130 (2017).
  19. Jain, A., Dion, G. R., Howell, R. J., Friedman, A. D. A novel rigid telescope holder for endoscopic surgery in otolaryngology.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 34894231206898 (2023).
  20. Michel, G., Bordure, P., Chablat, D. A new robotic endoscope holder for ear and sinus surgery with an integrated safety device. Sensors. 22 (14), 5175 (2022).
  21. Berges, A. J., et al. Characterization of patient head motion in otologic surgery: Implications for TEES.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42 (2), 102875 (2021).

Play Video

Citer Cet Article
Simon, F., Nguyen, Y., Loundon, N., Denoyelle, F. Robot-Assisted Transcanal Endoscopic Ear Surgery for Congenital Cholesteatoma. J. Vis. Exp. (202), e64861, doi:10.3791/64861 (2023).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