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chapter

31.4:

자연선택의 한계

JoVE 핵심
생물학
JoVE 비디오를 활용하시려면 도서관을 통한 기관 구독이 필요합니다.  전체 비디오를 보시려면 로그인하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시작하세요.
JoVE 핵심 생물학
Limits to Natural Selection

Languages

소셜에 공유하기

[나레이터] 환경에 완벽히 맞추는유기체의 놀라운 적응은 자연적으로선택되는데, 맹금류의 공격을보호하는 나방의 위장이자연 선택된 적응입니다.그러나 자연 선택이 늘 적응이라는결과물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자연 선택을 제한하는 강력 요인들이있는데, 이는 유기체와 환경이 완벽히조화하며 진화하는 것을 방해합니다첫째, 자연 선택은 표현형 변이에만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조류 개체군은 더 빠른대립 유전자가 유전자 풀에 없거나유전자 흐름 또는 돌연변이에 의해 전해지지않으면 더 빨리 날도록 진화할 수 없습니다.둘째, 먼 조상에 의해 확립된발육 특성은 자연 선택을 제한합니다.예를 들어, 조류는 날지 않는네발 척추 동물에서 진화했고 처음부터날개가 생길 가능성이 없는 발육 설계도를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습니다.대신 기존의 네 발을 계속 변형해동력 비행 진화가 이루어진 것입니다셋째, 자연 선택은 개체 특성이 아니라유기체 수준에서 영향을 줍니다.이는 한 특성의 적응이 다른 특성의희생이라는, 양보를 자주 초래합니다.예를 들어, 타조의 긴 다리와큰 몸집은 환경에 유리하지만거대한 몸은 비행에 불리합니다.

31.4:

자연선택의 한계

환경에 잘 적응된 유기체는 생존하고 번식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하지만,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은 완벽하게 적응된 유기체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몇 가지 요인이 자연선택을 제약합니다.

일단 자연선택은 현존하는 유전적 변이에만 작용합니다. 가설적으로 붉은 상아는 상아를 찾는 밀렵꾼을 단념시킴으로써 코끼리 생존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색 상아 유전자 변이, 즉 대립유전자(allele)가 없는 경우 자연선택이 적색 상아 발생률을 높일 수 없습니다. 그 대립유전자가 먼저 존재하거나 돌연변이(mutation)를 통해 생겨나야 합니다.

또한 트레이드오프(trade-off)는 자연선택을 제한합니다. 붉은 상아 대립유전자가 밀렵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지만, 상아도 부서지기 쉽고 싸움이나 먹이를 찾는데 덜 유용할 수 있습니다.

유전체 수준에서 트레이드오프는 자연선택이 대립유전자보다 개체에 작용하는 점입니다. 같은 염색체에 인접한 유전자들은 종종 서로 연관되어 함께 유전됩니다. 붉은 상아에 대한 대립유전자가 불임을 유발하는 대립유전자와 같이 유전되면, 상아에 대한 유전적 조합이 득보다 실이 크기 때문에 붉은 상아에 대한 대립유전자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중간 형질도 자연선택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상아, 빨간 상아, 중간형인 분홍 상아, 이렇게 세 가지 종류의 상아를 가진 코끼리 개체군을 상상해 봅시다. 분홍 상아들은 밀렵꾼들이 탐낼지도 모릅니다. 전통적인 상아처럼, 그리고 붉은 상아처럼 부서지기 쉽죠. 중간 표현형의 해로움은 코끼리 개체 수의 전통적인 상아에서 붉은 상아로의 전환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자연선택이 일반적으로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개체군의 능력을 향상하는 반면, 다른 진화 기작은 반대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해로운 대립유전자가 개체군에 도입되고 이로운 대립유전자가 이주로 인해 사라지거나(즉, 유전자 흐름), 자연재해 같은 우연한 사건(즉, 유전적 부동)에 의해 이로운 대립유전자가 지워질 수 있습니다. 진화는 완벽을 향한 움직임이 아니라, 개체군에 대한 복합적인 압력의 결과입니다.

Suggested Reading

Al-Shawaf, Laith, and Kareem Zreik. 2017. “Richard Dawkins on Constraints on Natural Selection.” Encyclopedia of Evolutionary Psychological Science, 1–5. [Source]

Barton, Nick, and Linda Partridge. 2000. “Limits to Natural Selection.” BioEssays 22 (12): 1075–84.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