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디지털 직업 훈련 시스템을 활용한 뇌졸중 후 인지 기능 및 상지 재활 훈련

Published: December 29, 2023
doi:

Summary

현재 프로토콜은 VR 기반 디지털 직업 훈련 시스템이 뇌졸중 후 인지 장애 및 상지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의 재활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bstract

뇌졸중 재활은 기능적 회복을 개선하기 위해 빈번하고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가상 현실(VR) 기술은 매력적이고 동기를 부여하는 치료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디지털 직업 훈련 시스템은 멀티 터치 스크린, 가상 현실,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고급 인지 능력과 손과 눈의 협응력을 위한 다양한 훈련 기술을 제공하는 VR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 및 상지 재활 향상에 대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훈련 및 평가는 손과 눈의 협응력 훈련과 함께 지각, 주의력, 기억, 논리적 추론 및 계산을 다루는 5가지 인지 모듈로 구성됩니다. 이 연구는 디지털 직업 훈련 시스템이 8주간의 훈련 후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 일상 생활 기술, 주의력 및 자기 관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일대일 작업 치료 세션을 보완하기 위해 시간을 절약하고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재활 보조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디지털 직업 훈련 시스템은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잠재적인 재정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Introduction

뇌졸중 또는 뇌혈관 사고와 관련된 발병률, 사망률, 장애율 및 재발률이 높다1. 전 세계적으로 뇌졸중은 종양과 심장병을 제치고 사망 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뇌졸중이 주요 사망 원인이다2. 뇌졸중의 발병률과 사회적 부담은 인구 고령화에 따라 향후 몇 년 동안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뇌졸중 생존자는 감각, 운동, 인지 및 심리적 장애를 계속 경험할 수 있다3. 뇌졸중의 영향에는 얼굴, 팔, 다리를 포함한 신체의 한쪽 마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편마비라고 합니다. 이는 뇌졸중의 가장 흔한 후유증이며 사람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4.

뇌졸중은 사람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됩니다. 뇌 조직 손상으로 인해 뇌졸중과 편마비는 손 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환자의 일상 생활 활동(ADL)을 방해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5. 상지 기능, 특히 말단 신체 부위인 손의 기능 감소는 상지 회복에 가장 큰 문제가 됩니다6. 따라서 기능적 재활이 중요합니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20%-80%가 인지 장애를 경험하여 주의력, 기억력, 언어 및 실행 능력의 결핍을 초래합니다7.

현재 상지 편마비의 임상적 재활은 주로 포괄적인 상지 훈련과 다양한 작업요법(예: 미러박스 치료8, 현탁액9, 기능적 전기자극10 등)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상 현실과 인터랙티브 비디오 게임이 대체 재활 방법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중재는 대용량 진료를 촉진하고 치료사의 시간 요구를 줄일 수 있다11. 가상 현실 시스템은 뇌졸중 생존자의 인지 및 상지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상용 장치로 빠르게 발전했습니다12.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는 아직 미개척 분야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뇌졸중 발생 후 초기 6-24주에 걸친 편마비 회복 기간 동안 뇌졸중 환자의 인지 및 상지 운동 기능에 대한 기존 상지 재활 훈련과 결합된 상지 재활 훈련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일상 생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입니다. 이 연구는 로봇 중재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귀중한 증거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Protocol

이 연구 프로토콜은 Zhejiang University First Affiliated Hospital의 윤리 위원회(승인 번호 IIT20210035C-R2)의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참가자로부터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었습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준 무작위화, 단일 맹검 및 대조군을 사용하는 실험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저장대학교 제1부속병원 재활의학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24명을 이 실험에 참여하도록 초대했다. 선정 기준…

Representative Results

이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다양한 유형의 인지 장애와 결합된 상지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24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습니다. 관찰된 인지 장애 유형에는 기억 상실증, 무지증, 집행 기능 장애, 주의력 장애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성별, 연령, 질병 기간, 뇌졸중 유형 측면에서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P > 0.05), 표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디지털 직…

Discussion

뇌졸중 환자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가상 현실 재활 시스템이 구현되었으며, 최신 멀티 터치 스크린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참여, 몰입, 상호 작용 및 개념화를 향상시켰습니다. 이 시스템은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합하는 대화형 상지 운동 제어 훈련을 제공합니다. 또한 기억력, 주의력, 공간 지각, 컴퓨팅, 손과 눈의 협응력 및 가상 작업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 훈련 모듈이 포함되어 개인화된 인?…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이 연구 기간 동안 지원과 협력을 해주신 Zheji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의 First Affiliated Hospital의 환자와 의료진에게 감사드립니다.

Materials

FlexTable digital occupational training system Guangzhou Zhanghe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Observation on the rehabilitation effect of digital OT cognitive function training on stroke patients with decreased attention function FlexTable digital operation training system uses the latest multi-touch screen technology, virtual reality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technology, integrates a variety of training methods, and provides digital advanced brain function and hand-eye coordination training
SPSS 25.0 IBM https://www.ibm.com/support/pages/downloading-ibm-spss-statistics-25

References

  1. Feigin, V. L., et al. World stroke organization (wso): Global stroke fact sheet 2022. Int J Stroke. 17 (1), 18-29 (2022).
  2. Liu, G., Cai, H., Leelayuwat, N. Intervention effect of rehabilitation robotic bed under machine learning combined with intensive motor training o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Front Neurorobot. 16, 865403 (2022).
  3. Langhorne, P., Bernhardt, J., Kwakkel, G. Stroke rehabilitation. Lancet. 377 (9778), 1693-1702 (2011).
  4. Feigin, V. L., Lawes, C. M., Bennett, D. A., Barker-Collo, S. L., Parag, V. Worldwide stroke incidence and early case fatality reported in 56 population-based studies: A systematic review. Lancet Neurol. 8 (4), 355-369 (2009).
  5. Han, Y., Xu, Q., Wu, F. Design of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glove with bionic fiber-reinforced actuator. IEEE J Transl Eng Health Med. 10, 2100610 (2022).
  6. Gu, Y., et al. A review of hand function rehabilitation systems based on hand motion recognition devic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rain Sci. 12 (8), 1079 (2022).
  7. Baltaduonienė, D., Kubilius, R., Berškienė, K., Vitkus, L., Petruševičienė, D. Change of cognitive functions after stroke with rehabilitation systems. Translational Neuroscience. 10 (1), 118-124 (2019).
  8. Samuelkamaleshkumar, S., et al. Mirror therapy enhances motor performance in the paretic upper limb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5 (11), 2000-2005 (2014).
  9. Xin, T. Effect of suspension-based digit work therapy system training on upper limb motor function in stroke hemiparesis patients. Chinese Journal of Rehabilitation Theory and Practice. 28, 1259-1264 (2022).
  10. Mccabe, J., Monkiewicz, M., Holcomb, J., Pundik, S., Daly, J. J. Comparison of robotic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motor learning methods for treatment of persistent upper extremity dysfunc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6 (6), 981-990 (2015).
  11. Hung, J. W., et al. Comparison of kinect2scratch game-based training and therapist-based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s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blinded trial. Eur J Phys Rehabil Med. 55 (5), 542-550 (2019).
  12. Cho, K. H., Song, W. K. Robot-assisted reach training with an active assistant protocol for long-term upper extremity impairment post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100 (2), 213-219 (2019).
  13. Lu, J., et al.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in detecting cognitive impairment in chinese elderly individuals: A population-based study. J Geriatr Psychiatry Neurol. 24 (4), 184-190 (2011).
  14. Page, S. J., Hade, E., Persch, A. Psychometrics of the wrist stability and hand mobility subscales of the fugl-meyer assessment in moderately impaired stroke. Phys Ther. 95 (1), 103-108 (2015).
  15. Ottosson, A. Signe brunnstrom’s influence on us physical therapy. Physical Therapy. 101 (8), (2021).
  16. Urban, P. P., et al. Occurence and clinical predictors of spasticity after ischemic stroke. Stroke. 41 (9), 2016-2020 (2010).
  17. Duffy, L., Gajree, S., Langhorne, P., Stott, D. J., Quinn, T. J. Reliability (inter-rater agreement) of the barthel index for assessment of stroke survivo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roke. 44 (2), 462-468 (2013).
  18. Bao, X., et al. Mechanism of kinect-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for motor functional recovery of upper limbs after subacute stroke. Neural Regen Res. 8 (31), 2904-2913 (2013).
  19. Henderson, A., Korner-Bitensky, N., Levin, M. Virtual reality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of its effectiveness for upper limb motor recovery. Top Stroke Rehabil. 14 (2), 52-61 (2007).
  20. Faria, A. L., Andrade, A., Soares, L., Sb, I. B. Benefits of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rough simula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stroke patients. J Neuroeng Rehabil. 13 (1), 96 (2016).
  21. Chien, W. T., Chong, Y. Y., Tse, M. K., Chien, C. W., Cheng, H. Y. Robot-assisted therapy for upper-limb rehabilit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ain Behav. 10 (8), e01742 (2020).
  22. Zhang, L., Jia, G., Ma, J., Wang, S., Cheng, L.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upper limb motor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post-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Neuroeng Rehabil. 19 (1), 76 (2022).
  23. Lu, C., Hua, The effects of digital cognitive training in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on, upper limb movemen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Modern Medicine. 47, 373-376 (2019).
  24. Yun, S. J., et al. Cognitive training using fully immersive, enriched environment virtual reality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Feasibility and usability study. JMIR Serious Games. 8 (4), 18127 (2020).
  25. Kim, W. S.,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for upper limb motor rehabilitation in stroke: Review of technologies and clinical evidence. J Clin Med. 9 (10), 3369 (2020).
  26. Høeg, E. R., et al. System immersion in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of motor function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iers in Virtual Reality. 2, 39-56 (2021).
  27. Bevilacqua, R., et al.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for rehabilitation of the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into efficacy and effectiveness.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8 (11), 1882 (2019).
check_url/kr/65994?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Yao, Z., Zhang, T., Chen, F., Shi, W., zheng, J., Zhang, Z., Chen, Z. Cognitive Function and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Post-Stroke Using a Digital Occupational Training System. J. Vis. Exp. (202), e65994, doi:10.3791/65994 (2023).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