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달팽이관 기형에서 뇌척수액 누출 식별을 위한 형광염료의 경내 적용

Published: February 29, 2020
doi:

Summary

경외형 플루오레세인은 CSF 누출의 수술 중 시각화를 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프로토콜은 요추 천자, 5 % 플루오레세인의 적용 및 완전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술 중 시각화를 설명합니다.

Abstract

뇌척수액 (CSF) 누출의 경우, 누출을 충분히 밀봉하고 뇌막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기원을 신뢰할 수 있는 검출이 필요합니다. 방법은 양측 선천성 귀 기형의 임상 경우에 경막 투여 플루오레세인을 사용하여 여기에 제시된다. 형광 염료는 CSF 누출의 수술 중 시각화를 달성하기 위해 경외심을 투여합니다. 염료는 수술 20 분 전에 적용되고, 5 %의 농도가 사용됩니다. 체중 10kg당 0.1 mL의 유체가 인트라콜리(intrathecally)로 적용됩니다. 플루오레세인은 완전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시각화됩니다. 유체 누출의 기원은 테이프 풋 플레이트에서 확인됩니다. 1 차 수술 중, 그것은 밀봉, 달팽이관 이식청력 복원을 위해 수행. 이 특정 한 경우에, 6 주 후, 급성 뇌막염으로 인해 이식 된 임플란트, 전극 배열은 스페이서로 남아 있었다. 수술 후, 청각 얼룩에서 β-트랜스퍼린이 검출되었습니다. 개정 된 유방 절제술 중에 누출의 탈구 된 범위가 발견되었습니다. 테이프를 제거하고 타원형 창을 밀봉했습니다. 개정 수술 5일 후, 청각 얼룩에서 β-트랜스퍼린이 검출되지 않았다. 달팽이관 이식6 개월 후 개정 하는 동안, 타원형 틈새 의 그대로 커버리지 관찰 되었다. 따라서, 심막 형광 응용 프로그램은 CSF 누출을 검출하기위한 신뢰할 수있는 도구로 입증된다. 그것은 기형과 복잡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수술 시동의 방향을 용이하게합니다. 문헌에서, 그것의 사용은 endonasal 수술에 있는 CSF 누공에 대해 기술됩니다 그러나 거의 두개골 기지 및 유양 부 수술에서 기술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CSF 누출이 있는 여러 경우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누출의 출처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Introduction

CSF 누출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선천적으로 존재하거나 자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이들은 이토리큐레아 또는 코뿔소를 통해 나타나며 양성 β-트랜스페린분비1,2에의해 확인될 수 있다. CSF 누출의 경우 누출을 충분히 밀봉하고 뇌막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기원을 신뢰할 수 있는 검출이 필요합니다.

경막형 플루오레세인 응용(IFA)은 신경외과 두개골 염기 수술 후 CSF 누출 을 검출하는 데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정확한 적용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가 없다 (예를 들어, 농도, 유체의 양, 덱사메타손과 같은 다른 약물의 첨가)3,4. 케이스의 대다수는 현미경 검사법5,6,7를 통해 측두골에 있는 CSF 누이를 가시화하는 표준화한 방법이 없는 동안, 경상 내시경 두개골 기지 수술을 기술합니다. 이 누수는 수시로 다중 현지화에서 생기고 그들의 전체 범위가 수술 도중 구상되지 않는 경우에 재발의 리스크를부담합니다 8. 구체적으로, 트랜스마스토이드 접근법은 재발성 누출의 위험을 부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8.

이 프로토콜은 트랜스마스토이드 접근법을 통해 경막 내 투여 형광석의 사용을 제시한다. 양측 선천성 귀 기형 (오른쪽 귀 : 달팽이관 실증, 왼쪽 귀 : 불완전한 파티션 유형 I)의 임상 사례는 경미한 외상으로 인해 중이의 왼쪽 테이프 발판이 천각되어 제공됩니다. 비슷한 경우는 한 번만 보고 되었습니다9.

Protocol

이 프로토콜은 헬싱키 선언에 따라 지역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Reg. No. A2019-0214). 모든 참가자로부터 통보된 동의를 얻었습니다. 자녀와 관련된 제시 된 경우, 서면 통보 된 동의는 두 부모 로부터 얻어졌습니다. 참고: 플루오레세인은 청색광(파장 ~485nm)으로 자극될 때 녹색광(520-530 nm)을 방출하는 형광염료입니다. 그것은 안과에서 눈물 필름의 시각화에 사용됩니다. …

Representative Results

제시된 경우에, 경미한 외상은 10 달 아이에 있는 코에서 CSF 누출로 이끌어 냈습니다. 자기 공명 화상 진찰 (MRI)는 불완전한 격막 모형 1과 동일결석한 interscalar 중격을 가진 오른쪽 달팽이관및 좌측 달팽이관 및 현관의 팽창및 양측 측두골 기형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뇌간-음성 측정을수행하고(도 1)양측 청각 장애를 확인하였다. <p class="jove_conten…

Discussion

CSF 누출에 관한 많은 보고는 두개골 기지 수술에 있는 transnasal 내시경 접근에 집중하는 동안, 현미경5, 6,7를 통해 측두골의 CSF 누이를 가시화하는 표준화한 방법은 부족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현미경 귀 수술에 사용하기 위한 기존 문헌 리뷰의 적응을 설명합니다.

플루오레세인의 적용은 두개골 염기 수술?…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자금이 받지 못했습니다.

Materials

Fluorescein ALCON 10% injection solution NOVARTIS 1467007
External lumbar drain catheter Silverline Spiegelberg ELD33.010.02
Otologic instruments (round knifes, hooks, curette, sickle knife, microscissors and microforceps) Spiggle und Theis No further specification; instruments can vary between the clinics and their use depends on the surgeon's preferation
Surgical microscope ARRISCOPE 1.0 ARRI Medicals NA
Consumables No further specification; material of the standard equipment of the operating clinic can be used
Water to rinse
Antifog solution
Cotton pads
Cottonoid pledges
Gown
Gloves
Mask
Suction tubes
Blade

References

  1. Gacek, R. R., Gacek, M. R., Tart, R. Adult spontaneous cerebrospinal fluid otorrhea: diagnosis and management. The American Journal of Otology. 20 (6), 770-776 (1999).
  2. Schraven, S. P., Bisdas, S., Wagner, W. Synchronous spontaneous cerebrospinal fluid leaks in the nose and ear.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26 (11), 1186-1188 (2012).
  3. Raza, S. M.,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intrathecal fluorescein and white light excitation for detecting intraoperative cerebrospinal fluid leak in endoscopic skull base surgery: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Neurosurgery. 124 (3), 621-626 (2016).
  4. Englhard, A. S., Volgger, V., Leunig, A., Messmer, C. S., Ledderose, G. J. Spontaneous nasal cerebrospinal fluid leaks: management of 24 patients over 11 years.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275 (10), 2487-2494 (2018).
  5. Sieskiewicz, A., Lyson, T., Rogowski, M., Mariak, Z. Endoscopic management of cerebrospinal fluid rhinorhea. The Polish Otolaryngology. 63 (4), 343-347 (2009).
  6. Liu, H., et al. The use of topical intranasal fluorescein in endoscopic endonasal repair of cerebrospinal fluid rhinorrhea. Surgical Neurology. 72 (4), 341-345 (2009).
  7. Javadi, S. A. H., Samimi, H., Naderi, F., Shirani, M. The use of low- dose intrathecal fluorescein in endoscopic repair of cerebrospinal fluid rhinorrhea. Archives of Iranian Medicine. 16 (5), 264-266 (2013).
  8. Cheng, E., Grande, D., Leonetti, J. Management of spontaneous temporal bone cerebrospinal fluid leak: A 30-year experience.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40 (1), 97-100 (2019).
  9. Tandon, S., Singh, S., Sharma, S., Lahiri, A. K. Use of Intrathecal Fluorescein in Recurrent Meningiti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Iran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28 (86), 221-226 (2016).
  10. Warnecke, A., et al. Diagnostic relevance of beta2-transferrin for the detection of cerebrospinal fluid fistulas. Archives of Otolaryngology – Head & Neck Surgery. 130 (10), 1178-1184 (2004).
  11. Keerl, R., Weber, R. K., Draf, W., Wienke, A., Schaefer, S. D. Use of sodium fluorescein solution for detection of cerebrospinal fluid fistulas: an analysis of 420 administrations and reported complication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Laryngoscope. 114 (2), 266-272 (2004).
  12. Keerl, R., Weber, R. K., Draf, W., Radziwill, R., Wienke, A. Complications of lumbar administration of 5% sodium fluorescein solution for detection of cerebrospinal fluid fistula. Laryngo-rhino-otologie. 82 (12), 833-838 (2003).
  13. Harley, B., et al. Endoscopic transnasal repair of two cases of spontaneous cerebrospinal fluid fistula in the foramen rotundum.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Official Journal of the Neurosurgical Society of Australia. 59, 350-352 (2019).
  14. Wolf, G., Greistorfer, K., Stammberger, H. Endoscopic detection of cerebrospinal fluid fistulas with a fluorescence technique. Report of experiences with over 925 cases. Laryngo-rhino-otologie. 76 (10), 588-594 (1997).
check_url/60795?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Weiss, N. M., Andus, I., Schneider, A., Langner, S., Schröder, S., Schraven, S. P., Mlynski, R. Intrathecal Application of a Fluorescent Dye for the Identification of Cerebrospinal Fluid Leaks in Cochlear Malformation. J. Vis. Exp. (156), e60795, doi:10.3791/60795 (2020).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