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망막 질환의 평가에 대한 정량적 안저 자기 형광

Published: March 11, 2016
doi:

Summary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supports the sensory retina through recycling visual cycle byproducts, which accumulate as lipofuscin. These products are autofluorescent and can be qualitatively imaged in vivo. Here, we describe a method to quantitatively image RPE lipofuscin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y.

Abstract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is juxtaposed to the overlying sensory retina, and supports the function of the visual system. Among the tasks performed by the RPE are phagocytosis and processing of outer photoreceptor segments through lysosome-derived organelles. These degradation products, stored and referred to as lipofuscin granules, are composed partially of bisretinoids, which have broad fluorescence absorption and emission spectra that can be detected clinically as fundus autofluorescence with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y (cSLO). Lipofuscin accumul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ing age, but is also found in various patterns in both acquired and inherited degenerative diseases of the retina. Thus, studying its pattern of accumulation and correlating such patterns with changes in the overlying sensory retina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and progression of retinal disease. Here, we describe a technique employed by our lab and others that uses cSLO in order to quantify the level of RPE lipofuscin in both healthy and diseased eyes.

Introduction

망막 색소 상피 (RPE)는 다수의 공정 1 내지 감각 망막의 기능을 지원한다. 연령 관련 황반 변성 (AMD)은 선진국에서의 치료가 실명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안료의 손실 함수 위축의 손실을 포함 RPE의 변화에​​ 의해 특징된다. AMD와 정상적인 노화에있어서, RPE는 리포 푸신 입자라고 포식 감광체 단편을 함유 형광 리소좀 유래 세포 소기관을 축적한다. RPE에 리포 푸신의 축적은 산화 적 장애를 표시 것으로 생각 하였지만, 최근의 연구는 RPE 형태 높은 리포 푸신 농도 2 세 눈 정상적인 유지 보여준다. AMD 및 AMD의 진행을위한 그러나, 리포 푸신 분포의 비정상적인 패턴, 리포 푸신의 특정 손실, 문서화 마커, 조직 학적 및 임상 3,4 모두

결함이 사전 처리RPE의 리포 푸신의 노래는 특정 상속 망막 변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 르가 르트 병 (STGD)을 앓고있는 환자는 결국 AMD 5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시력 상실을 개발하고, 젊은 나이에 RPE에 리포 푸신 축적. 이러한 연구 결과는 리포 푸신 축적 자체가 독성 및 RPE 장애 6, 7을 구동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STGD와 주제의 자세한 영상 연구는 그 초점 리포 푸신 축적 8 후속 RPE 손실에지도 확인하지 않았다. 리포 푸신 이상이 망막 변성에 대한 마커가 있지만 따라서, 리포 푸신의 직접적인 독성에 대한 역할은 검증되지 않은 남아있다.

RPE는 망막의 가장 후방 전지 층이지만, 안저에서의 형광 신호의 대부분을 생성한다. RPE 유래의 생성 및 형광도 (AF)의 검출이 가능 VI 공 초점 스캐닝 레이저 검안경 (cSLO)를 사용하여 수행 될 수있다안저 AF의 공간 분포의 sualization. 특정 망막 변성은 이러한 조건의 진단 및 모니터링 독특한 안저 AF의 패턴 및 AF 이미징 보조를 보여줍니다. 표준 AF 촬영이 임상 적으로 중요하지만, 양적 AF (QAF)는 RPE의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수단이되고있다. 우리 등을 확실하게 특정 망막 위치 9에서 QAF 레벨을 결정할 수있는 표준화 방법을 개발 하였다. QAF 잠재적 인 진단에 응용 프로그램 및 망막 조건의 모니터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예후 및 위험 계층화의 유틸리티를 가질 수있다. 또한 QAF의 진단 능력은 특정 망막 질환 10-12에 대해 기술하고있다. 여기, 우리는 건강하고 병에 걸린 눈의 평가에서의 응용 프로그램의 시각적 데모와 함께 우리의 기술을 수행하기위한 단계별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tocol

윤리 정책 :이 연구에 등록 된 모든 환자가 의학의 뉴욕 대학에서 승인 된 기관 검토위원회의 감독에 따라 그렇게했다. 1. 환자 선택 및 이미지를위한 초기 준비 참고 : 다음과 같은 자료가 필요 : 0.5 % tropicamide 안과 솔루션, 2.5 %의 페닐에 안과 솔루션, cSLO는 스펙트럼 영역 빛 간섭 단층 촬영 (SD-OCT) 및 내부 형광 참조 갖추고 있습니다. 촬영에 앞?…

Representative Results

이 기술은 모두 13 건강 상태 및 질병 10-12 QAF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건강한 눈 (그림 1)에서 RPE에서 방출 AF는 안저 (그림 1A)에 걸쳐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어있다. 감소 강도로 인해 황반 색소에 의해 빛의 차단에 중심 황반 지역에서 볼, 그리고 측면과 이미지의 모서리 인해 눈과 카메라의 광학에있다. 선박은 어두워 잘 획…

Discussion

이상 RPE에 리포 푸신 분포가 증가 또는 감소 여부, 망막 질환의 민감한 마커이고, 일반적으로 관능 망막 기능의 상실과 관련된다. 여기, 우리는 망막 색소 상피 리포 푸신의 평가를 위해 QAF의 응용 프로그램을 설명합니다. 내부 형광 기준의 설립은 우리의 표준화 된 이미징 기술과 함께 가변 레이저 파워 검출기 감도 9 수정하기는 AF 수준의 신뢰성있는 정량 수 있습니다. 그것은이 방법은 ?…

Divulgacion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우리는 우리의 협력자, 프랑소와 Delori, 토마스 버크, 그리고 토비아스 Duncker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연구 지원 : NIH / NEI R01 EY015520 (RTS, JPG), 연구에서 무제한 자금은 실명 (RTB)을 방지한다.

Materials

Spectralis HRA + OCT Heidelberg Engineering n/a
0.5% tropicamide ophthalmic solution n/a n/a Any brand can be used
2.5% phenylephrine ophthalmic solution n/a n/a Any brand can be used
Internal fluorescent reference Heidelberg Engineering n/a
IGOR Pro software WaveMetrics n/a

Referencias

  1. Strauss, O.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 visual function. Physiological reviews. 85, 845-881 (2005).
  2. Ach, T., et al. Quantitative autofluorescence and cell density maps of the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5, 4832-4841 (2014).
  3. Ach, T., et al. Lipofuscin redistribution and loss accompanied by cytoskeletal stress in retinal pigment epithelium of eye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6, 3242-3252 (2015).
  4. Schmitz-Valckenberg, S., Jorzik, J., Unnebrink, K., Holz, F. G., Group, F. A. M. S. Analysis of digit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y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s of geographic atrophy in advance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Graefe’s archive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 Albrecht von Graefes Archiv fur klinische und experimentelle Ophthalmologie. 240, 73-78 (2002).
  5. Weng, J., et al. Insights into the function of Rim protein in photoreceptors and etiology of Stargardt’s disease from the phenotype in abcr knockout mice. Cell. 98, 13-23 (1999).
  6. Holz, F. G., et al. Inhibition of lysosomal degradative functions in RPE cells by a retinoid component of lipofuscin.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0, 737-743 (1999).
  7. Sparrow, J. R., Nakanishi, K., Parish, C. A. The lipofuscin fluorophore A2E mediates blue light-induced damage to retinal pigmented epithelial cell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1, 1981-1989 (2000).
  8. Smith, R. T., et al. Lipofuscin and autofluorescence metrics in progressive STGD.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0, 3907-3914 (2009).
  9. Delori, F., et al.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utofluorescence with the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2, 9379-9390 (2011).
  10. Burke, T. R., et al. Quantitative fundus autofluorescence in recessive Stargardt disease.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5, 2841-2852 (2014).
  11. Duncker, T., et al. Quantitative fundus autofluorescence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best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5, 1471-1482 (2014).
  12. Duncker, T., et al. Quantitative fundus autofluorescence distinguishes ABCA4-associated and non-ABCA4-associated bull’s-eye maculopathy. Ophthalmology. 122, 345-355 (2015).
  13. Greenberg, J. P., et al. Quantitative fundus autofluorescence in healthy eye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4, 5684-5693 (2013).
  14. Delori, F. C., Goger, D. G., Dorey, C. K. Age-related accumul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lipofuscin in RPE of normal subject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2, 1855-1866 (2001).
  15. Sparrow, J. R., et al. Quantitative fundus autofluorescence in mice: correlation with HPLC quantitation of RPE lipofuscin and measurement of retina outer nuclear layer thicknes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4, 2812-2820 (2013).
  16. Delori, F. C., Webb, R. H., Sliney, D. H. Maximum permissible exposures for ocular safety (ANSI 2000), with emphasis on ophthalmic device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Optics, image science, and vision. 24, 1250-1265 (2007).
check_url/es/53577?article_type=t

Play Video

Citar este artículo
Armenti, S. T., Greenberg, J. P., Smith, R. T. Quantitative Fundus Autofluorescence for the Evaluation of Retinal Diseases. J. Vis. Exp. (109), e53577, doi:10.3791/53577 (2016).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