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유전자 변형을 위한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의 표적 미세주입 및 전기천공

Published: March 24, 2023
doi:

Summary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의 전기천공법은 영장류(병리)생리학적 신피질 발달에 가까운 모델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구체 유형과 뉴런에 일시적인 유전자 변형을 도입하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신경 발달 및 진화 과정을 연구 할 수 있으며 질병 모델링에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Abstract

대뇌 피질은 가장 바깥쪽 뇌 구조이며 감각 입력 및 운동 출력 처리를 담당합니다. 그것은 포유류, 특히 영장류에서 고차원인지 능력의 자리로 간주됩니다. 영장류의 뇌에서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는 것은 기술적, 윤리적 이유로 인해 어려운 일이지만, 뇌 오가노이드 기술의 확립은 전통적인 영장류 모델(예: 붉은털 원숭이 및 일반 마모셋)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실험적으로 접근할 수 없었던 영장류 종(예: 유인원)에서 윤리적으로 정당하고 기술적으로 덜 까다로운 시스템. 또한, 인간의 뇌 오가노이드는 신경 발달 및 신경 장애에 대한 고급 조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뇌 오가노이드는 뇌 발달의 많은 과정을 요약하기 때문에 진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종의 뇌 발달의 기초가 되는 유전적 결정 요인의 차이점을 식별하고 기능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기도 합니다. 오가노이드 사용의 가장 큰 장점은 유전자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을 도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의 도입은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이 논문은 뇌 오가노이드의 하위 유형인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의 심실과 같은 구조 내에서 세포 집단을 유전적으로 변형하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 이 방법은 인간, 침팬지, 붉은털원숭이 및 일반 마모셋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서 대뇌 오가노이드의 안정적인 생성을 위한 수정된 프로토콜을 미세주입 및 전기천공 접근법과 결합합니다. 이것은 질병 모델링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신경 발달 및 진화 과정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를 제공합니다.

Introduction

대뇌 피질의 (병리) 생리적 발달과 진화를 조사하는 것은 적절한 모델 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해 방해받는 엄청난 작업입니다. 이전에는 이러한 연구가 2차원 세포 배양 모델(예: 1차 신경 전구체 또는 신경 세포 배양)과 진화적으로 멀리 떨어진 동물 모델(예: 설치류) 국한되었습니다1,2. 이러한 모델은 특정 질문을 해결하는 데 유용하지만 건강 및 질병 상태에서 발달 중인 인간 신피질의 복잡성, 세포 유형 구성, 세포 구조 및 유전자 발현 패턴을 모델링하는 데는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제한은 예를 들어 소두증의 특정 사례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인간 질병의 마우스 모델을 인간 상황에 대한 열악한 번역 가능성으로 이끕니다(예: Zhang et al.3). 최근에, 인간 신피질 발달의 진화학적, 기능적, 형태학적으로 더 가까운 모델인 형질전환 비인간 영장류가 세포 배양 및 설치류 기반 모델의 많은 한계를 극복함에따라 4,5,6,7,8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그러나 연구에 인간이 아닌 영장류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윤리적 문제를 제기합니다. 보다 최근에, 뇌 오가노이드 기술(9,10)의 개발은 이전 모델(11,12,13,14,15,16)의 많은 한계를 해결하는 유망한 대안으로 부상했다.

뇌 오가노이드는 정의된 발달 시간 창 11,12,13,14,17 동안 하나 또는 여러 뇌 영역의 세포 구조 및 세포 유형 구성의 주요 특징을 모방하는 3차원(3D) 다세포 구조입니다. 이러한 3D 구조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또는 관심 종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배아 줄기 세포(ESC)에서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뇌 오가노이드가 사용된 방법론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비유도 및 국소화된(guided) 뇌 오가노이드18. 후자의 유형의 오가노이드를 생성할 때, 만능 줄기 세포를 특정 뇌 영역의 오가노이드(예: 전뇌 오가노이드)로 분화시키는 것을 안내하는 소분자 또는 인자가 제공됩니다18. 대조적으로, 유도되지 않은 오가노이드에서 분화는 작은 분자의 추가에 의해 유도되는 것이 아니라 iPSC/ESC의 자발적인 분화에만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생성된 뇌 오가노이드는 서로 다른 뇌 영역(예: 대뇌 오가노이드)을 나타내는 세포 유형으로 구성됩니다18. 뇌 오가노이드는 뇌 발달의 많은 주요 특징과 iPSC 또는 ESC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관심 종에서 상대적으로 비용 및 시간 효율적인 생성을 결합합니다11,12,13,14. 따라서 뇌 오가노이드는 진화 및 발달 문제에서 질병 모델링 및 약물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신경생물학적 연구를 위한 훌륭한 모델이 됩니다15,16. 그러나 뇌 오가노이드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유전자 변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가용성에 크게 의존합니다.

신피질(병리)생리학적 발달과 그 진화를 연구하는 한 가지 핵심 측면은 유전자와 유전자 변이체의 기능적 분석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이소성) 발현 및/또는 해당 유전자의 녹다운(KD) 또는 녹아웃(KO)에 의해 달성됩니다. 이러한 유전자 변형은 안정적이고 일시적인 유전자 변형뿐만 아니라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제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변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유전자 변형은 모든 후속 세포 세대에 전달되는 숙주 게놈에 유전적 변형을 도입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유전자 변형의 시점에 따라 오가노이드의 모든 세포에 영향을 미치거나 특정 세포 집단으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가장 빈번하게, 렌티바이러스, 트랜스포존 유사 시스템 및 CRISPR/Cas9 기술을 적용하여 iPSC/ESC 수준에서 뇌 오가노이드에서 안정적인 유전자 변형이 달성됩니다(예: Fischer et al.17, Kyrousi et al.19 및 Teriyapirom et al.20). 이것은 뇌 오가노이드의 모든 세포가 유전자 변형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적인 iPSC/ESC 라인의 생성 및 특성화는 매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첫 번째 변형된 뇌 오가노이드를 분석할 수 있을 때까지 종종 몇 개월이 걸립니다(예: Fischer et al.17, Kyrousi et al.19 또는 Teriyapirom et al.20에 의해 검토됨).

대조적으로, 일시적인 유전자 변형은 숙주 게놈 내로 통합되지 않는 유전자 화물(예를 들어, 유전자 발현 플라스미드)의 전달에 의해 정의된다. 이 변형은 원칙적으로 후속 세포 세대로 전달될 수 있지만, 전달된 유전 화물은 각 세포 분열에 따라 점진적으로 희석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유전자 변형은 일반적으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됩니다. 일시적인 유전자 변형은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또는 전기천공에 의해 뇌 오가노이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예: Fischer et al.17, Kyrousi et al.19 및 Teriyapirom et al.20에 의해 검토됨), 후자는 이 기사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안정적인 유전자 변형과 달리 이 접근 방식은 매우 빠르고 비용 효율적입니다. 실제로, 전기천공은 몇 분 이내에 수행될 수 있으며, 표적 세포 집단에 따라 전기천공된 오가노이드는 수일 이내에 분석 준비가 완료됩니다(예: Fischer et al.17 및 Kyrousi et al.19에 의해 검토됨). 그러나 크기의 차이와 같은 뇌 오가노이드의 전체적인 형태학적 변화는 이러한 유형의 유전자 변형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감지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예를 들어 오가노이드 내의 개별 세포 집단을 연구하거나 특정 발달 시점에서 뇌 오가노이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경우에도 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예: Fischer et al.17 및 Kyrousi et al.19에 의해 검토됨).

뇌 발달과 진화 과정에서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는 고전적인 접근 방식은 자궁 전기 천공법입니다. 자궁 내 전기천공은 설치류 21,22,23 및 흰 족제비24,25에 유전자 발현 구조를 전달하는 데 잘 알려져 있고 유용한 기술입니다. 먼저, 관심있는 발현 구조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자궁벽을 통해 표적화 할 영역에 따라 배아 뇌의 특정 심실에 미세 주입합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전기 펄스를 적용하여 표적 심실을 직접 감싸는 세포를 transfection합니다. 이 접근법은 이소성 발현 또는 유전자의 과발현에만 국한되지 않고 짧은 헤어핀(shRNA) 또는 CRISPR/Cas9(발현 플라스미드 또는 리보핵단백질[RNP]의 형태)를 각각 미세 주입하여 KD 또는 KO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26,27. 그러나 마우스, 쥐 및 흰 족제비 배아의 자궁 내 전기천공법은 이러한 동물 모델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적으로는 영장류 에서 직접 자궁 전기 천공을 수행하고 싶습니다. 이것은 원칙적으로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자궁 내 전기 천공은 윤리적 문제, 높은 동물 유지 비용 및 작은 깔짚 크기로 인해 영장류에서 수행되지 않습니다. 유인원(인간 포함)과 같은 특정 영장류의 경우 이것은 전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영장류는 인간의 (병리)생리학적 신피질 발달과 그 진화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딜레마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영장류 뇌 오가노이드에 전기천공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28.

이 논문은 영장류 뇌 오가노이드의 아형인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의 전기천공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이 접근법은 오가노이드의 심실과 같은 구조 내에서 세포 집단의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유전자 변형을 가능하게 합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인간(호모 사피엔스), 침팬지(Pan troglodytes), 붉은털 원숭이(Macaca mulatta) 및 일반 마모셋(Callithrix jacchus) iPSC에서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를 생성하기 위한 통합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또한, 우리는 미세주입 및 전기천공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고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 전기천공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및 “금지” 기준을 제공합니다. 이 접근법은 특히 인간 상황에 가까운 모델에서 (병리) 생리적 신피질 발달과 그 진화를 연구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Protocol

1. 영장류 iPSC의 배양 참고: 견고성으로 인해 여기에 제시된 방법은 모든 영장류 iPSC 라인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간(iLonza2.2)29, 침팬지(Sandra A)30, 붉은털원숭이(iRh33.1)29 및 일반적인 마모셋(cj_160419_5)31 iPSC 계통의 대뇌 오가노이드 생산에 대해 설명합니다. 배양 조건은 표 1</s…

Representative Results

여기에 설명된 프로토콜은 종 간에 필요한 타이밍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인간, 침팬지, 붉은털 원숭이 및 일반적인 마모셋 iPSC 계통에서 대뇌 오가노이드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그림 1A). 이러한 오가노이드는 심실과 같은 구조의 접근성과 관심 있는 세포 집단의 풍부도에 따라 20dps에서 50dps 범위에서 전기천공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천공에 앞서 대뇌 오…

Discussion

여기에 설명된 절차는 표적 전기천공 접근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영장류 종에서 대뇌 오가노이드를 생성하기 위한 통합 프로토콜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영장류(인간 포함)(병리)생리학적 신피질 발달을 모방하는 모델 시스템에서 GOI의 이소성 발현을 허용합니다. 영장류 대뇌 오가노이드 생성을 위한 이 통합 프로토콜은 제시된 4가지 영장류 종 모두에 대해 동일한 재료(예: 배지) 및 프로토콜 단계…

Divulgation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지면의 제약으로 인해 논문을 인용하지 못한 모든 연구자들에게 사과드립니다. 페트리 접시 전극 챔버 건설에 대해 DPZ의 기술 서비스 담당자인 Ulrich Bleyer와 MPI-CBG 워크숍의 Hartmut Wolf에게 감사드립니다. 인간(iLonza2.2), 붉은털 원숭이(iRh33.1) 및 마모셋(cj_160419_5) iPSC를 제공한 Stoyan Petkov 및 Rüdiger Behr; 동결절개 및 면역형광 염색을 위한 Sabrina Heide; 그리고 원고를 비판적으로 읽은 Neringa Liutikaite와 César Mateo Bastidas Betancourt. W.B.H. 실험실에서의 작업은 ERA-NET NEURON (MicroKin) 보조금으로 지원되었습니다. M.H.의 실험실에서의 작업은 ERC 시작 보조금 (101039421)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Materials

20 µL Microloader Eppendorf 5242956003
2-Mercaptoethanol Merck 8.05740.0005
35 mm cell culture dishes Sarstedt 83.3900
60 mm cell culture dishes CytoOne CC7682-3359
Activin A Sigma-Aldrich SRP3003
AOC1 Selleckchem S7217
Axio Observer.Z1 Inverted Fluorescence Microscope Zeiss replacable by comparable fluorescent microscopes
AZD0530 Selleckchem  S1006
B-27 Supplement with Vitamin A (retinoic acid, RA) (50x) Gibco 17504-044
B-27 Supplement without Vitamin A (50x) Gibco 12587-010
BTX ECM 830 Square Wave Electroporation System BTX 45-2052
CGP77675 Sigma-Aldrich SML0314
Chimpanze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Sandra A doi: 10.7554/elife.18683 
Common marmose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cj_160419_5 doi: 10.3390/cells9112422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Nutrient Mixture F-12 (DMEM/F12) Gibco 11320-033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Gibco 14190-094 pH 7.0−7.3; warm to room temperature before use
Fast Green Sigma-Aldrich F7252-5G
Forskolin Selleckchem 2449
GlutaMAX Supplement (100x) Gibco 35050-061 glutamine substitute supplement
Heparin (1 mg/mL stock) Sigma-Aldrich H3149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iLonza2.2 doi: 10.3390/cells9061349
Human Neurotrophin-3 (NT-3) PeproTech 450-03
Insulin Sigma-Aldrich 19278
IWR1 Sigma-Aldrich I0161
Leica MS5 stereomicroscope (MDG 17 transmitted-light base) Leica 10473849 replacable by comparable stereomicroscopes
Matrigel Corning 354277/354234 basement membrane matrix; alternatively, Geltrex (ThermoFisher Scientific, A1413302) can be used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100x) Sigma-Aldrich M7145
N-2 Supplement (100x) Gibco 17502-048
Neurobasal medium Gibco 21103-049
Parafilm Sigma-Aldrich P7793
Paraformaldehyde  Merck 818715 handle with causion due to cancerogenecity
Penicillin/Streptomycin (10,000 U/mL) PanBiotech P06-07100
Petri dish electrode chamber self-produced (see Supplemental File 1) also commertially available
Pre-Pulled Glass Pipettes WPI TIP10LT borosilicate glass pipettes with long taper, 10 µm tip diameter
Pro-Survival Compound MerckMillipore 529659
Recombinant Human/Murine/Rat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PeproTech AF-450-02
Rhesus macaqu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iRh33.1 doi: 10.3390/cells9061349
StemMACS iPS-Brew XF Miltenyi Biotech 130-104-368
StemPro Accutase Cell Dissociation Reagent Gibco A1110501 proteolytic and collagenolytic enzyme mixture
TrypLE Gibco 12604-013 recombinant trypsin substitute; warm to room temperature before use
Ultra-Low Attachment 96-well plates Costar 7007
Y27632 Stemcell Technologies 72305

References

  1. Marchetto, M. C. N., Winner, B., Gage, F. H. Pluripotent stem cells in neurodegenerative and neurodevelopmental diseases. Human Molecular Genetics. 19 (R1), R71-R76 (2010).
  2. Zhao, X., Bhattacharyya, A. Human models are needed for studying huma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103 (6), 829-857 (2018).
  3. Zhang, W., et al. Modeling microcephaly with cerebral organoids reveals a WDR62–CEP170–KIF2A pathway promoting cilium disassembly in neural progenitors. Nature Communications. 10 (1), 2612 (2019).
  4. Sasaki, E., et al. Generation of transgenic non-human primates with germline transmission. Nature. 459 (7246), 523-527 (2009).
  5. Niu, Y., et al. Transgenic rhesus monkeys produced by gene transfer into early-cleavage–stage embryos using a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based vector.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7 (41), 17663-17667 (2010).
  6. Niu, Y., et al. Generation of gene-modified cynomolgus monkey via Cas9/RNA-mediated gene targeting in one-cell embryos. Cell. 156 (4), 836-843 (2014).
  7. Shi, L., et al. Transgenic rhesus monkeys carrying the human MCPH1 gene copies show human-like neoteny of brain development. National Science Review. 6 (3), 480-493 (2019).
  8. Heide, M., et al. Human-specific ARHGAP11B increases size and folding of primate neocortex in the fetal marmoset. Science. 369 (6503), 546-550 (2020).
  9. Kadoshima, T., et al. Self-organization of axial polarity, inside-out layer pattern, and species-specific progenitor dynamics in human ES cell–derived neocortex.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0 (50), 20284-20289 (2013).
  10. Lancaster, M. A., et al. Cerebral organoids model human brain development and microcephaly. Nature. 501 (7467), 373-379 (2013).
  11. Kelava, I., Lancaster, M. A. Stem cell models of human brain development. Cell Stem Cell. 18 (6), 736-748 (2016).
  12. Lullo, E. D., Kriegstein, A. R. The use of brain organoids to investigate neural development and diseas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8 (10), 573-584 (2017).
  13. Arlotta, P. Organoids required! A new path to understanding human brain development and disease. Nature Methods. 15 (1), 27-29 (2018).
  14. Heide, M., Huttner, W. B., Mora-Bermúdez, F. Brain organoids as models to study human neocortex development and evolution. Current Opinion in Cell Biology. 55, 8-16 (2018).
  15. Qian, X., Song, H., Ming, G. Brain organoids: Advanc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Development. 146 (8), dev166074 (2019).
  16. Sun, N., Meng, X., Liu, Y., Song, D., Jiang, C., Cai, J. Applications of brain organoids in neurodevelopment and neurological diseases.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28 (1), 30 (2021).
  17. Fischer, J., Heide, M., Huttner, W. B. Genetic modification of brain organoids. Frontiers in Cellular Neuroscience. 13, 558 (2019).
  18. Pașca, S. P., et al. A nomenclature consensus for nervous system organoids and assembloids. Nature. 609 (7929), 907-910 (2022).
  19. Kyrousi, C., Cappello, S. Using brain organoids to study human neurodevelopment, evolution and disease.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Developmental Biology. 9 (1), e347 (2020).
  20. Teriyapirom, I., Batista-Rocha, A. S., Koo, B. -. K. Genetic engineering in organoids.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99 (4), 555-568 (2021).
  21. Saito, T., Nakatsuji, N. Efficient gene transfer into the embryonic mouse brain using in vivo electroporation. Biologie du développement. 240 (1), 237-246 (2001).
  22. Fukuchi-Shimogori, T., Grove, E. A. Neocortex patterning by the secreted signaling molecule FGF8. Science. 294 (5544), 1071-1074 (2001).
  23. Tabata, H., Nakajima, K. Efficient in utero gene transfer system to the developing mouse brain using electroporation: Visualization of neuronal migration in the developing cortex. Neurosciences. 103 (4), 865-872 (2001).
  24. Kawasaki, H., Toda, T., Tanno, K. In vivo genetic manipulation of cortical progenitors in gyrencephalic carnivores using in utero electroporation. Biology Open. 2 (1), 95-100 (2012).
  25. Kawasaki, H., Iwai, L., Tanno, K. Rapid and efficient genetic manipulation of gyrencephalic carnivores using in utero electroporation. Molecular Brain. 5 (1), 24 (2012).
  26. Bai, J., et al. RNAi reveals doublecortin is required for radial migration in rat neocortex. Nature Neuroscience. 6 (12), 1277-1283 (2003).
  27. Kalebic, N., et al. CRISPR/Cas9-induced disruption of gene expression in mouse embryonic brain and single neural stem cells in vivo. EMBO reports. 17 (3), 338-348 (2016).
  28. Fischer, J., et al. Human-specific ARHGAP11B ensures human-like basal progenitor levels in hominid cerebral organoids. EMBO Reports. 23 (11), e54728 (2022).
  29. Stauske, M., et al. Non-human primate iPSC generation, cultivation, and cardiac differentiation under chemically defined conditions. Cells. 9 (6), 1349 (2020).
  30. Mora-Bermúdez, F., et 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human and chimpanzee neural progenitors during cerebral cortex development. eLife. 5, e18683 (2016).
  31. Petkov, S., Dressel, R., Rodriguez-Polo, I., Behr, R. Controlling the switch from neurogenesis to pluripotency during marmoset monkey somatic cell reprogramming with self-replicating mRNAs and small molecules. Cells. 9 (11), 2422 (2020).
  32. Camp, J. G., et al. Human cerebral organoids recapitulate gene expression programs of fetal neocortex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2 (51), 15672-15677 (2015).
  33. Kanton, S., et al. Organoid single-cell genomic atlas uncovers human-specific features of brain development. Nature. 574 (7778), 418-422 (2019).
  34. Lancaster, M. A., Knoblich, J. A. Generation of cerebral organoid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Nature Protocols. 9 (10), 2329-2340 (2014).
  35. Cakir, B., et al. Engineering of human brain organoids with a functional vascular-like system. Nature Methods. 16 (11), 1169-1175 (2019).
  36. Masselink, W., et al. Broad applicability of a streamlined ethyl cinnamate-based clearing procedure. Development. 146 (3), dev166884 (2019).
  37. Denoth-Lippuner, A., Royall, L. N., Gonzalez-Bohorquez, D., Machado, D., Jessberger, S. Injection and electroporation of plasmid DNA into human cortical organoids. STAR Protocols. 3 (1), 101129 (2022).
  38. Denoth-Lippuner, A., et al. Visualization of individual cell division history in complex tissues using iCOUNT. Cell Stem Cell. 28 (11), 2020.e12-2034.e12 (2021).
  39. Kelava, I., Chiaradia, I., Pellegrini, L., Kalinka, A. T., Lancaster, M. A. Androgens increase excitatory neurogenic potential in human brain organoids. Nature. 602 (7895), 112-116 (2022).
  40. Lancaster, M. A., et al. Guided self-organization and cortical plate formation in human brain organoids. Nature Biotechnology. 35 (7), 659-666 (2017).
  41. Kalebic, N., et al. Neocortical expansion due to increased proliferation of basal progenitors is linked to changes in their morphology. Cell Stem Cell. 24 (4), 535.e9-550.e9 (2019).
check_url/fr/65176?article_type=t

Play Video

Citer Cet Article
Tynianskaia, L., Eşiyok, N., Huttner, W. B., Heide, M. Targeted Microinjection and Electroporation of Primate Cerebral Organoids for Genetic Modification. J. Vis. Exp. (193), e65176, doi:10.3791/65176 (2023).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