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chapter

19.7:

달팽이관

JoVE Core
B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Biology
The Cochlea

Languages

Share

– [강사] 음파는 난원창을 진동시키는귓속뼈에 의해내이에 위치한 달팽이관까지 전달되는데,이는 내이에 축적되는 체액을 달팽이관을 통해 밀어내어기저막이 진동하게 하는 원리이다.기저막은 난원창에서 가장 가까운 쪽인 기부(基部)에서더욱 좁고 뻣뻣해지고,치근관의 근첨단부에서는더욱 넓고 유연해진다.그 결과,기부는 고주파에 최대로 반응하여 진동하고치근관의 근첨단부는 저주파에 최대로 반응하여 진동하는데,이는 소리의 높낮이를 표현한 지형도인토노토피를 형성한다.기저막의 진동은기저막과 뻣뻣한 덮개막 사이에 위치한유모(有毛) 세포들에서전단력을 형성하고,그 부분의 청각신경세포에신경 신호를 발생시킨다.그러므로고주파는 달팽이관 기부 쪽의 청각신경세포를 활성화시키고,저주파는 치근관의 근첨단부에 위치한 청각신경세포를 활성화시킨다.이러한 토노토피는뇌의 청각 경로까지 유지되어음 높낮이 구분을 돕는다.

19.7:

달팽이관

달팽이관(cochlea; 와우관)은 내이(inner ear)에 있는 코일형 구조로, 청각계통(auditory system)의 감각수용체(sensory receptor; 감각수용기)인 유모세포(hair cell)를 포함합니다. 음파는 이소골(ossicles)이라 불리는 고막(tympanic membrane; eardrum)에 붙어 있는 작은 뼈에 의해 달팽이관으로 전달되며, 이 뼈는 내이로 통하는 난원창(oval window; 안뜰창)을 진동시킵니다. 이것은 달팽이관실의 액체가 움직이게 하고 기저막(basilar membrane)의 진동을 일으킵니다.

기저막은 난원창 근처의 달팽이관 기저부 끝(basal end)에서부터 정점 끝(apical end)까지 연장됩니다. 달팽이관 자체는 정점 끝을 향해 좁아지지만, 기저막은 반대되는 기하학적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정점 끝으로 갈수록 더 넓고 유연해집니다.

주로 이러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기저막의 정점 끝은 저주파 소리에 노출될 때 가장 크게 진동하는 반면, 더 좁고 단단한 기저 끝은 고주파수에 노출될 때 가장 크게 진동합니다. 이러한 주파수 반응에 대한 구배(gradient)는 달팽이관에 토노토피(tonotopy; 음높이(pitch) 지형도)를 만듭니다.

유모세포는 세포 아래에 있는 기저막과 세포 위의 단단한 덮개막(tectorial membrane)의 진동 차이에 의해 생성된 전단력(shearing force)에 따라 자극을 받습니다. 기저막의 토노토피 때문에 유모세포는 달팽이관 안에 있는 위치에 따라 다른 주파수에 의해 자극을 받습니다. 기저 끝의 세포는 높은 주파수에 가장 잘 반응하고, 정점 끝의 세포는 낮은 주파수에 가장 잘 반응합니다. 이에 따라 시냅스이후(postsynaptic) 세포, 즉 청각 뉴런은 동일한 토노토피 반응 패턴을 보입니다.

이 토노토피는 청각 경로(auditory pathway) 전체에서 유지되며, 달팽이관의 다른 영역의 정보는 청각 경로와는 다른 뇌를 통과하는 조직적이고 평행한 경로를 통해 뇌로 이동합니다. 궁극적으로, 1차 청각 겉질(primary auditory cortex; 1차 청각 피질)에는 달팽이관의 기저 끝과 정점 끝까지의 해당하는 “지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도에서 자극되는 뉴런들은 주파수와 연관되며, 이에 따라 음높이 식별을 돕습니다.

따라서 달팽이관은 소리 정보를 신경 신호로 전달하는 것과 음높이의 초기 변환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uggested Reading

Lenarz, Thomas. “Cochlear Implant – State of the Art.” GMS Current Topics in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16 (February 19, 2018). [Source]

Wong, Ann C. Y., and Allen F. Ryan. “Mechanisms of Sensorineural Cell Damage, Death and Survival in the Cochlea.”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7 (April 21, 2015). [Source]

Elliott, Stephen J, and Christopher A Shera. “The Cochlea as a Smart Structure.” Smart Materials & Structures 21, no. 6 (June 2012): 064001.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