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chapter

19.6:

유모세포

JoVE Core
B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Biology
Hair Cells

Languages

Share

내이의 달팽이관에는유모 세포라는 감각 수용기가 있는데음파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여뇌가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각 세포는 위에 털같은 부동섬모가 있는데작은 것에서 큰 것 순으로 정렬되어 있고가느다란 끝부분 고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음파가 유모 세포 아래에 있는기저막을 진동시키면 섬모가좌우로 움직인다섬모가 가장 긴 털로 움직일 때는끝 부분 고리가 펴져서부착된 양이온 통로를 열어준다칼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서세포를 감극시키고 내부가 더 양이온을 띠게 만든다전압의 증가로전압 의존성 칼슘 채널이 열리고칼슘 이온이 들어오면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후 청신경에방출되는데 청신경은 그 정보를뇌로 가져간다섬모가 가장 짧은 털로 움직이면꼭지 고리가 압축이 되어 양이온 채널이 닫히고세포는 과분극이 되고 내부가 더 음이온을 띠고신경 전달 물질 방출이 줄어든다이렇게, 유모 세포는음파의 특징, 즉 주파수 같은 것을신경 신호로 바꿀 수 있어서지각을 가능하게 해준다

19.6:

유모세포

유모세포(hair cell)는 청각계통(auditory system)의 감각수용체(sensory receptor; 감각수용기)이며 기계적인 음파를 신경계(nervous system)가 이해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유모세포는 코르티기관(organ of Corti)에 있고, 코르티기관(organ of Corti)은 내이(inner ear)의 달팽이관(cochlea; 와우관) 내에 , 기저막(basilar membrane)과 덮개막(tectorial membrane; 개막) 사이에 위치합니다. 실제 감각수용체는 내유모세포(inner hair cell)라고 부릅니다. 외유모세포(outer hair cell)는 달팽이관의 소리 증폭과 같은 다른 기능을 하지만,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습니다.

유모세포는 세포 상부에서 튀어나와 덮개막까지 닿는 머리카락 같은 유모세포의 부동섬모(stereocilia)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부동섬모는 높이별로 배열되어 있으며 팁 링크(tip link)라고 하는 얇은 필라멘트(filament; 미세섬유)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팁 링크는 부동섬모 끝의 인장 활성 양이온 채널(stretch-activated cation channel)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음파가 기저막을 진동시킬 때 기저막과 덮개막 사이에 전단력(shearing force)이 발생해 유모세포 부동섬모를 좌우로 이동시킵니다. 섬모가 가장 높은 섬모 쪽으로 이동하면 팁 링크가 늘어나 양이온 채널을 엽니다. 그러면 칼륨(K+)이 세포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는 부동섬모 바깥의 유체의 K+ 농도가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이 큰 전압 차이는 채널이 열리면 K+가 유입되는 전기화학적 구배(lectrochemical gradient)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양전하의 유입으로 세포가 탈분극(depolarization)하여 막 전체의 전압이 상승합니다. 그러면 세포체(cell body)의 전위의존성 칼슘 채널(voltage-gated calcium channel, 줄여서 Ca2+ channel)이 열리고 Ca2+가 세포에 흘러 들어갑니다. Ca2+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excitatory neurotransmitter) 분자를 포함한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를 세포막에 융합 시켜 방출하도록 만드는 신호의 연쇄반응(signaling cascade)을 유발하고, 시냅스이후(postsynaptic) 청각 뉴런을 자극해 뇌로 향하는 활동전위(action potential)의 전달을 증가시킵니다. 부동섬모가 반대 방향(가장 짧은 부동섬모를 향해)으로 밀리면, 팁의 고리는 이완되고 양이온 채널이 닫히며, 세포는 휴식 상태보다 과분극(hyperpolarization; 즉 막전위(membrane potential)가 음수)됩니다.

주파수와 같은 음파의 특성은 유모세포 활성화 패턴으로 변환되고 결과적으로 청각 뉴런 활성화 패턴으로 변환됩니다. 그런 뒤 이 정보는 해석을 위해 뇌로 보내집니다.

Suggested Reading

Schwander, Martin, Bechara Kachar, and Ulrich Müller. “The Cell Biology of Hearing.”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90, no. 1 (July 12, 2010): 9–20. [Source]

Goutman, Juan D., A. Belén Elgoyhen, and María Eugenia Gómez-Casati. “Cochlear Hair Cells: The Sound-Sensing Machines.” FEBS Letters 589, no. 22 (November 14, 2015): 3354–61.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