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약물 유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대상 제어 주입 (TCI) 및 이중 분광 분석과 수면 내시경 (DISE)

Published: December 06, 2016
doi:

Summary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 내시경 검사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OSA)의 방해 패턴을 구별 할 수있는 표준화 된 프로토콜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진정제의 대상 제어 주입 (TCI)를 이중 분광 분석을 사용하여 마취 깊이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결합시켰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OSA)에 방해 패턴을 구별하는 약물에 의한 수면 내시경 (DISE)에 대한 표준화 된 프로토콜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진정제 프로포폴의 대상 제어 주입 (TCI)를 이중 분광 분석을 사용하여 마취 깊이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결합시켰다.

관찰 연구에서 57 환자 (연령을 44.8 년, 평균 ± SD 10.5, 무호흡 저 호흡 지수 (AHI) 30.8 / 시간, ± SD 21.6, 평균 BMI을 의미 / m 2 28.2 kg는 ± SD 5.3)와 DISE 다음 심폐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 TCI와 이중 분광 분석. 수면 2.0 μg의 / ㎖의 초기 목표 혈장 수준과 더불어, TCI-펌프 프로포폴의 정맥 내 투여에 의해 단독으로 유도 하였다. 환자의 호흡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에서 의식 및 이중 분광 분석 값의 상태가 목표 플라즈마 프로포폴 레벨 디까지 0.2 μg의 / ㎖ / 분으로 2 단계로 상승시켰다진정 작용의 눌러 원하는 깊이에 도달했습니다. 진정제의 타겟 깊이에서 이중 분광 분석의 평균값을 결정하고, DISE-TCI-이중 분광 분석 중에 폐색 패턴은 투표 시스템에 따라 분류 하였다. 그 후 결과는 수면 다원 및 인체 계측 데이터에 따라 분석 하였다. OSA의 심각성 정도에 걸쳐 모든 다중 폐색 사이트의 발생은 상기도 수술 이전 수면 내시경의 필요성을 명확히.

이 기술의 장점은 심지어 환자의 이종 집단에 대한 프로토콜의 재현성이다. 또한, 이중 분광 지수 실시간 제어 프로포폴의 혈장 수준의 점진적인 제어되고 표준화 증가 진정의 정밀 제어 깊이로 이끈다. 표준화 할 수있는 – DISE-TCI-이중 분광 분석 절차는 수면 내시경의 요구 재현 프로토콜을 향한 단계입니다. 그러나 아직 승 알려져 있지 않다hether이 관찰 방해 패턴은 자연 수면 연구 결과에 해당합니다.

Introduction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OSA)을 완료 (무호흡) 또는 수면 중에 상부기도의 부분 (저 호흡) 붕괴의 반복적 인 단계를 특징으로한다. 이 단계는 종종 동맥 산소 불포화 및 각성에 의한 수면의 분열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남성의 7 %와 2 – – 여성 1 5 % 일반 인구에서 낮 증상을 동반 OSA의보고 된 유병률은 3입니다. 60 % 2 – 중증 OSA 중등도의 치료에 금 표준 준수가 국제적으로 약 40로보고되는 코 지속적기도 양압 (nCPAP)입니다. 이하 4 시간 3 정기적 OSA 환자의 83 % -이 처리 (29)에 의해 사용된다. 두 CPAP 사용의 장기 준수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예측이 아니라 현재 4 알려져있다. 또한, 감정적 인 임상 적 부작용은 종종 상당히 적합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일 상기도 수술 등의 대체 치료 옵션erefore OSA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한다. 그러나, 수술 (응답 속도)의 성공 확률은 통풍 치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사실 5,6- 문제가있다.

그것은 1991 년 크로프트와 프링 글에 의해 수면 내시경의 도입 OSA의 병태 생리에 추가 통찰력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개별 수술 적 치료 (7)을 통해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했다. 로 2011 년 초 같은 드 비토 등의 알에 의해 연구. 목표 제어 주입 (TCI) 및 안전성, 안정성과 정확도 (8)에 대하여 이중 분광 분석에 기초하여 조사 기법을 사용하는 장점을 설명했다. 한편, 수면 내시경 검사의 타당성과 신뢰성 지금까지 2014 유럽 위치 종이 때문에, 표준화 9-11로가는 길에, 설립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 endoscop위한 표준화 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것입니다위하여 이중 분광 분석을 사용하여 마취 깊이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결합 진정제 프로포폴의 대상 제어 주입, 의한 Y는 OSA 심각도에 따라 방해 패턴을 구분한다.

CASE 프리젠 테이션 :

연구 디자인 :

회고전 연구는 지역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다음 9 월 2012 2014년 11월 사이 이비인후과, 헤드 및 프리드리히 – 알렉산더 대학 에를 랑겐 – 뉘른베르크의 목 수술의 부서에서 수행되었다. 20 ~ 73 세의 모든 57 참여 환자, 이비인후과, 두경부 외과 부에 의해 보충되었다. (52) 환자는 남성과 5 여성이었다. 표준화 인터뷰 또한, 이들은는 otorhinolaryngologist 의해 검사 및 상부기도로 평가 웨이크 내시경 검사를 시행 하였다. 심폐 수면 다원 검사는 다음 교육부에서 수행되었다수면 실험실은 수면 관련 호흡 장애의 정확한 분류를 활성화합니다. 강제 (12) 수면 의학 작업의 미국 아카데미의 기준에 따라, (AHI> 30 / 시간), 중간 (AHI> 15 <30 / 시간) 또는 심각한 – OSA의 심각도는 (15 / 시간 AHI 5) 경증으로 분류했다 . 수면 내시경에 대한 표시가 상부기도 (기본 표시)의 계획된 수술 적 치료의 맥락에서 또는 nCPAP 불이행 (보조 또는 보조 표시)의 경우 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수면 다원 검사에 의해 진단, 중등도 또는 중증 OSA와 칠십오년 -이 연구에 포함 기준 18 세 남성과 여성이었다. 제외 기준은 마취과의 미국 사회 분류 (ASA) IV / V, 중앙 수면 무호흡증, 진정제, 알코올 중독성 마약, 프로포폴에 대한 알레르기, 임신 한 여성의 오용의 긍정적 인 기록했다.

진단, 평가 및 계획 :

차diorespiratory 수면 다원 검사 (PSG) :

수면 다원 검사는 33 채널 심폐 진단 시스템으로 수행 하였다. 수면 다원 진단을위한 기술적 절차는 뇌파를 이용하여 표준화 된 기술에 수면 의학의 미국 아카데미 (AASM)의 권고를 따라 (EEG, F4-M1, C4-M1, O2-M1), 오른쪽 전기 oculogram 왼쪽, mentalis 및 경골 근육, 코 압력 정맥, 흉부 및 복부 호흡 노력 센서 (유도 plethysmographs), 바디 위치 센서, 맥박 산소 측정기, 코골이 마이크의 근전도는 1 채널 ECG 및 적외선 영상 (13)을 기록. 평가는 AASM 기준에 따라 수행 하였다 (버전 2.0, 2012)와 독일 수면 학회 (DGSM) (13), (14)의 공인 의료 수면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면 다원 검사는 OSA를 확인 한 후, 모두 57 명의 환자는 표준화 된 프로포폴 기반 약물 유발 SLE을 시행TCI 및 이중 분광 분석 (DISE-TCI-이중 분광 분석)와 EP 내시경 (DISE).

수술 전 준비 :

인해 근육 이완 효과, 벤조디아제핀 아무런 전 처치는 단지 진단용 수행 수면 내시경의 경우에 주어진 없었다. 수면 내시경가 예정 수술 동안 수행 된 경우, 클로니딘은 계정에 해당 금기 복용 벤조디아제핀에 대한 대안으로 전 처치에 사용 하였다.

장애물의 분류 :

투표 시스템은 분류 목적 15에 사용 하였다. 폐쇄의 다음 사이트 고려했다 : 연구 개, 인두 (측면 인두 벽, 편도선), 혀베이스와 후두개. 방해의 정도는 세 가지 등급 (; 부분 및 완전 폐쇄 아무 방해)로 분할되었다. 폐색의 구성은 전방 기둥으로 나누었다erior, 측면과 동심.

대상 제어 주입 (TCI) :

목표 제어 주입 (TCI)는 혈액의 목표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마이크로 칩 제어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약물의 주입을 설명한다. 이 방법의 목적은 신속한 획득 및 특정 (지정) 혈장 수준 또는 효과 사이트 TCI의 경우의 효과 레벨에 기초하여 소정의 효과 (예를 들면, 진정)의 유지이다. 플라즈마 수준이나 효과 사이트 수준의 계산은 자원 봉사 인구의 16 ~ 18에서 결정된 약물의 반감기 값과 분배 계수를 사용 (습지 또는 슈니에 따라) 약동학 3 구획 모델을 기반으로합니다. 빠르게 달성 플라즈마 프로포폴 지정된 타겟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주사 속도가 자동으로 산출 및 주입 펌프에 의해 제어된다. 본 연구는 주입 펌프로 구성되는 시스템 및 데이터 mA를 이용함께 습지의 미리 프로그램 된 약물 동력학 모델 nager. 진정제의 목적 깊이 동시에 이중 분광 분석으로 모니터 하였다.

이중 분광 분석 :

이중 분광 분석 / 인덱스는 뇌의 전기 활동과 상관된다. 이중 분광 분석 레코드 모니터 다양한 독점 알고리즘의 도움으로 EEG 파워 스펙트럼의 분포를 분석 EEG 신호와 정면. 이중 분광 지수는 0에서 100 (19) 사이의 차원 수입니다. 일반적으로, 약 90의 값은 고주파 베타 파의 우세를 반영하고 환자가 깨어임을 나타낸다. (10) 아래에 이중 분광 분석 값은 EEG 억제 (20), (21)을 나타내는입니다. 이 스케일 따라서 뇌 진정제의 효과의 간접 측정을 제공한다. 하는 bisp를 마취 충분한 깊이를 유지하고, 환자의 수술 awakeness 바람직하지 않기 위해60 <의 ectral 인덱스 권장합니다. 한편, <40의 이중 분광 지수 값은 불필요하게 깊은 마취를 방지하기 위해서 피해야한다.

모든 수면 내시경 추가 수면 의학의 자격 (TM 59.6 % (57분의 34), AF 40.4 % (57분의 23) 두 경험이 풍부한 이비인후과 컨설턴트에 의해 수행되었다.

Protocol

이 프로토콜은 프리드리히 – 알렉산더 대학 에를 랑겐 – 뉘른베르크 (FAU)의 로컬 윤리위원회의 지침을 따릅니다. 1. DISE-TCI-이중 분광 분석 절차 정맥 천자를 수행하고 진정제를 투여하는 정맥 액세스를 얻기 위해 다시 손이나 중간 cubital 정맥의 왼쪽 환자에서 IV 카테터를 배치합니다. 실내 온도 (22 °에 C)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운영 극장에 깨어 환자를 가져?…

Representative Results

환자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진정 원하는 깊이에서 이중 분광 분석의 평균값은 60 (SD 10.4 ± 범위 35-80; 구간 42.0 95 % 신뢰 – 47.6)이었다. 장애물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결합 부위는 OSA 심각도의 모든 수준에서 발견되었다. 장애물의 식별 된 사이트는 주파수의 내림차순으로이었다 : 연구 개 59.6 % (57분의 34), 혀베이스 43.9 % (57분의 25), 구강 인두 42.1 % (57?…

Discussion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자발적인 수면 중에가요 광섬유 rhinopharyngolaryngoscopy를 사용하여 첫 번째 실험은 1970 년대 초반 22로서 설명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사 기술의 뿌리 처음 순전히 설명 병태 생리 학적 성질이었다. 이러한 후지타 의해 uvulopalatopharyngoplasty (UPPP)와 같은 OSA를 치료하는 수술 기법의 설립 동안, 그러나, 동작의 성공은 환자 (23)의 신중한 선택에 수술 명백…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The authors are grateful to Philipp Grundtner for his help with the statistical analyses.

Materials

Cardiorespiratory polysomnography 
SOMNOscreen  SOMNOmedics, Randersacker, Germany SBT202
Sedation
Propofol-Lipuro 20 mg/mL; 2,6-diisopropylphenol B. Braun Melsungen AG, Melsungen, Germany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Infusion pump Orchestra Module DPS Visio Fresenius Kabi, Germany GmbH  Z082420
Data manager Orchestra Base Primea Fresenius Kabi Germany GmbH Z081320
Bispectral analysis (BIS)
BIS single-use electrode BIS Quatro Sensor Covidien, Neustadt/Donau, Germany GmbH 186-0106
BIS monitor BIS VISTA Covidien, Neustadt/Donau, Germany GmbH 186-0210
Endoscope 
Laryngo fiberscope, length 30 cm, diameter 3.5 mm KARL STORZ GmbH & Co. KG, Tuttlingen, Germany 11101RP
Picture Archiving  System 
AIDA Karl STORZ GmbH & Co. KG, Tuttlingen, Germany WD 200-XX
Premedication 
Catapresan; Clonidin-HCl 0.075 mg/0.15 mg/0.3 mg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gelheim am Rhein, Germany

References

  1. Punjabi, N. M. The epidemiology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roc Am Thorac Soc. 5 (2), 136-143 (2008).
  2. Giles, L. T., Lasserson, T. J., Smith, B., White, J., Wright, J. J., Cates, C. J. Continuous positive airways pressure for obstructive sleep apnoea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19 (3), (2006).
  3. Mayer, G., et al. Deutsche Gesellschaft für Schlafforschung und Schlafmedizin (DGSM), S3-Leitlinie. Nicht erholsamer Schlaf/Schlafstörungen. Somnologie. 13, 1-160 (2009).
  4. McArdle, N., Devereux, G., Heidarnejad, H., Engleman, H. M., Mackay, T. W., Douglas, N. J. Long-term use of CPAP therapy for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Am J Respir Crit Care Med. 159 (4), 1108-1114 (1999).
  5. Verse, T., et al. HNO-spezifische Therapie der obstruktiven Schlafapnoe bei Erwachsenen. AWMF. , (2015).
  6. Sher, A. E., Schechtman, K. B., Piccirillo, J. F. The efficacy of surgical modifications of the upper airway in adul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Sleep. 19 (2), 156-177 (1996).
  7. Croft, C. B., Pringle, M. Sleep nasendoscopy: a technique of assessment in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oea. Clin Otolaryngol Allied Sci. 16 (5), 504-509 (1991).
  8. De Vito, A., et al. Drug-induced sleep endoscopy: conventional versus target controlled infusion techniques–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Eur Arch Otorhinolaryngol. 268 (3), 457-462 (2011).
  9. Kezirian, E. J.,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drug-induced sleep endoscop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36 (4), 393-397 (2010).
  10. Rodriguez-Bruno, K., Goldberg, A. N., McCulloch, C. E., Kezirian, E. J. Test-retest reliability of drug-induced sleep endoscop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40 (5), 646-651 (2009).
  11. De Vito, A., et al. European position paper on drug-induced sedation endoscopy (DISE). Sleep Breath. 18 (3), 453-465 (2014).
  12. .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The Report of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Sleep. 22 (5), 667-689 (1999).
  13. Iber, C., Ancoli-Israel, S., Chesson, A., Quan, S. F. .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Rules, Terminology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1st ed. , (2007).
  14. Berry, R. B., et al. Rules for scoring respiratory events in sleep: update of the 2007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Deliberations of the Sleep Apnea Definitions Task For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J Clin Sleep Med. 8 (5), 597-619 (2012).
  15. Kezirian, E. J., Hohenhorst, W., de Vries, N. Drug-induced sleep endoscopy: the VOTE classification. Eur Arch Otorhinolaryngol. 268 (8), 1233-1236 (2011).
  16. Ihmsen, H., Schraag, S., Kreuer, S., Bruhn, J., Albrecht, S. Target-controlled infusion. Clinical relevance and special features when using pharmacokinetic models. Anaesthesist. 58 (7), 708-715 (2009).
  17. Marsh, B., White, M., Morton, N., Kenny, G. N. Pharmacokinetic model driven infusion of propofol in children. Brit J Anaesth. 67 (1), 41-48 (1991).
  18. Schnider, T. W., et al. The influence of method of administration and covariates on the pharmacokinetics of propofol in adult volunteers. Anesthesiology. 88 (5), 1170-1182 (1998).
  19. Sigl, J. C., Chamoun, N. G. An introduction to bispectral analysis for the electroencephalogram. J Clin Monitor. 10 (6), 392-404 (1994).
  20. Avidan, M. S., et al. Anesthesia awareness and the bispectral index. New Engl J Med. 358 (11), 1097-1108 (2008).
  21. Kissin, I. Depth of anesthesia and bispectral index monitoring. Anesth Analg. 90 (5), 1114-1117 (2000).
  22. Borowiecki, B., Pollak, C. P., Weitzman, E. D., Rakoff, S., Imperato, J. Fibro-optic study of pharyngeal airway during sleep in patients with hypersomnia obstructive sleep-apnea syndrome. Laryngoscope. 88 (8), 1310-1313 (1978).
  23. Fujita, S.,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uvulopalatopharyngoplasty. Laryngoscope. 95 (1), 70-74 (1985).
  24. Zerpa Zerpa, ., Carrasco Llatas, M., Agostini Porras, G., Dalmau Galofre, J. Drug-induced sedation endoscopy versus clinical exploration for the diagnosis of severe upper airway obstruction in OSAHS patients. Sleep Breath. 19 (4), 1367-1372 (2015).
  25. Fernandez-Julian, E., Garcia-Perez, M. A., Garcia-Callejo, J., Ferrer, F., Marti, F., Marco, J. Surgical planning after sleep versus awake technique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Laryngoscope. 124 (8), 1970-1974 (2014).
  26. Vroegop, A. V., et al. Drug-induced sleep endoscopy in sleep-disordered breathing: report on 1,249 cases. Laryngoscope. 124 (3), 797-802 (2014).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Traxdorf, M., Tschaikowsky, K., Scherl, C., Bauer, J., Iro, H., Angerer, F. Drug-Induced Sleep Endoscopy (DISE) with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and Bispectral Analysis in Obstructive Sleep Apnea. J. Vis. Exp. (118), e54739, doi:10.3791/54739 (2016).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