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6세에 난독증 평가

Published: May 01, 2020
doi:

Summary

이 연구는 난독증의 식별을위한 제안 된 프로토콜을 설정합니다. 프로토콜은 중재 모델에 대한 진단 및 응답을 기반으로 합니다. 제안은 읽기 및 쓰기 성과 및 결정 요인의 평가를 위해 구조화 된 인터뷰 및 표준화 된 테스트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Abstract

최근 몇 년 동안, 다른 국가 및 지구에 있는 초기 나이에 난독증의 보급에 있는 증가가 있었습니다. 이 증가는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을 특징짓는 나쁜 학업 성과 및 때때로 표시하는 사회 정서적 문제로 인해 학교 및 가족 환경 내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난독증의 식별에서 가장 빈번한 문제 중 하나는 모든 어린이의 평가를위한 특정 기준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진단 프로토콜의 부족입니다. 말라가 대학의 학습 장애 및 발달 장애 연구 그룹은 난독증의 조기 발견을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했습니다. 프로토콜은 개입 모델에 대한 진단 및 응답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그것은 몇몇 협회 및 전문가 위원회에 의해 합의된 진단 기준을, 뿐 아니라 특정 특정 인식 및 언어 결정요인을 고려하여 적당한 지시에 따라 난독증으로 제출하는 사람들을, 최근 연구에 따르면. 조치 프로토콜은 여러 단계에 걸쳐 개발되며, 우리는 지능, 읽기 및 쓰기의 평가를위한 표준화 된 시험뿐만 아니라 문제의 모양을 결정하는 위험 요소와 함께 부모 및 교사와의 구조화 된 인터뷰를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 작업 프로토콜은 초기 부터 효과적인 개입 및 / 또는 예방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comorbid 문제와 구별하고 그 특성과 결정요인을 식별하고자하는 난독증 검출 모델을 제공합니다.

Introduction

DSM-5는 신경 발달 장애 내의 진단 범주로 특정 학습 어려움을 설정합니다. 실독증은 가장 일반적인 특정 학습 어려움 중 하나로 간주되었습니다. 그것은 철자 및 직교 정확도와 함께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인식에 어려움이 특징입니다. 또한 독해의어려움을수반 1 . 이러한 증상은 6 세 부터 의무 교육이 시작된 후에 나타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초기 나이에 난독증의 보급에 있는 증가가 있었습니다. 일부 저자는 학교 나이 아이들의 5%와 17.5% 사이에서 실독증2,,3에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 백분율은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을 특징짓는 나쁜 학문적 성과 및 때때로 표시하는 사회 정서적 문제로 인해 학교 및 가족 환경 내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조기 발견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독증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난독증에서 주어진 정의의 모호성에서 파생된 다른 설명 모형에 의해 제안된 식별 기준의 타당성에 관하여 진행하기 토론 때문입니다.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관점은 이 문제의 확인을 위한 진단의 모형을 옹호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개입 모델에 대한 반응이 이러한 목적을 위한 대안으로 대두되었습니다.

진단 모델은 난독증을 식별할 때 몇 가지 기준을 고려합니다: 불일치 기준, 배제 기준 및 특이성기준(그림 1, 그림 2, 그림 3, 그림 4).

Figure 1
그림 1. 진단 모델의 기준은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2
그림 2. 불일치 기준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3
그림 3. 진단 모델 기준(제외 기준)을 클릭하여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확인하십시오.

Figure 4
그림 4. 진단 모델 기준(특이성 기준)을 클릭하여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확인하십시오.

불일치 기준은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지적 잠재력과 성능 사이의 불일치를 제시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 기준은 난독증4,,5의출현을 결정하기 위해 IQ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찾을 수없는 일부 저자에 의해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조적으로, 다른 저자는 발산 아이들이 비 발산 아이들 보다는 내정간섭에 더 저항력이 있다는 것을 것을을 발견합니다 또는 그(것)들 사이 다름이 있다는 것을6,,7. 불일치 기준은 널리 비판되었지만, 그 사용에 대한 합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그것은 난독증을 식별에 관해서 IQ를 분배하는 것은 다소 성급합니다. IQ의 사용을 폐기하면 이 문제를 지적 장애와 같은 다른 문제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불일치는 난독증8을식별하는 첫 번째 단계여야 합니다.

배제 기준은 난독증과 난독증이 수반되는 다른 특정 장애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러한 장애는 일반적으로 감각 적 결핍, 정신 장애, 정서적 장애 및 사회 문화적 또는 교육적 단점1,,9. 이러한 장애와 난독증 중 일부 사이의 중복에 대한 몇 가지 논쟁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회 정서적 변화 및 낮은 사회적 능력은 때때로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으로 포함되며, 실제로 이러한 어려움이 난독증10에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날 때. 배제 기준의 사용에 대한 옹호자는 난독증이 진단을 위해 고려되지 않으면 다른 comorbid 병리11을 포괄하는 포괄 범주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특이성 기준은 언어, 추론 및 도구 학습 문제1,,9와같이 난독증에 영향을 받는 도메인에 관한 특정 제한을 의미합니다. 일부 저자는 언어 문제가 실독증12,13의범주에 포함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도메인은 이러한 교육이 필요하지만 다른 도메인은 공식 교육없이 언어를 획득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comorbid 조건으로 차별화되고 분류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10. 이와 관련하여 난독증은 음운 처리14,,15 또는 일반적인 감각 적자16,,17의어려움에 의해 정당화되는 읽기 및 쓰기 에 문제가 특징입니다. 난독증이 음독학적 처리의 적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난독증이 음운 코드의 효과적인 사용과 관련된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내며, 음운 학적 표현의 생성에 적자를 제시합니다. 그 결과, 그들은 알파벳 원리를 획득하고 그래핀 – 음소 통신(10)을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감각 적자로 난독증의 지지자들은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이 청각 자극의 처리가 필요한 작업에 어려움을 제시한다고 주장하며, 빠른 시간 적 처리의 적자로 인해 청각 인식의 어려움을 표시합니다10. 이러한 기본적인 어려움은 음운 문제를 야기, 이는 그들이 인식 단어를 직면 어려움을 설명.

개입 모델 (RTI)에 대한 응답은 학생들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행동 문제를 줄이는 다단계 예방 시스템을 통해 학교 시스템 내평가 및 개입을 통합합니다18. 이 모델은 읽기 및 쓰기 어려움을 나타내고,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학생의 반응에 따라 개입을 제공 할 위험이있는 학생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을 교실의 모든 학생이 받은 개입에 응답하지 않는 과목으로 식별하고 인지 또는 교육 적 결핍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고가정합니다 19. 난독증의 식별은 의사 결정 과정이며, 평가는 지침과 함께 산재됩니다. 각 평가 단계에서는 각 수업 단계 이후의 학생들의 진척도가 고려됩니다. 따라서 전체 클래스의 성과 평가가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전달된 명령의 부적절성을 배제합니다. 교육이 적절하다는 것이 확인되면, 두 번째 단계는 교과 과정 측정을 통해, 성과와 진도가 동급생의 성과보다 낮은 학생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며, 난독증을 앓고있는 학생이라고 간주합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 아이들에게 개별 적인 교과 과정 적응이 적용됩니다. 이러한 교과 과정 적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아이가 아직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전문 교육 조치가 필요하고, 아이는 난독증으로 간주됩니다19,,20,,21 (그림 5). 이 모델은 학업 성과에 중점을 두고, IQ 성능 불일치 및 지능 평가를 제거하며, 거짓 긍정 의 수를 줄입니다8. 그러나, 아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정간섭에 잘 반응하지 않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몇몇 기준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다른 문제와 공존하고, 개입에 대한 비응답은 그들 사이의 동반성의 존재에 기인 할 수있다10,,22,,23. 이 연구 결과는 진단 계기로 RTI 모형의 사용에 관하여 회의적입니다.

Figure 5
그림 5. “개입에 대한 응답”의 다단계 시스템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따라서 특정 학습 장애, 특히 난독증을 식별하는 데 사용해야하는 기준에 대한 합의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진단 모델은 불일치, 배제 및 특이성 기준을 사용하는 반면, 내정간섭 모델에 대한 응답은 적절한 지시에 따라 기본 도구 작업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기준으로 간주합니다. 두 모델 모두 비판을 받고 있으며 특정 약점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말라가 대학의 학습 장애 및 발달 장애 연구 그룹은 난독증의 조기 발견을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했으며, 이는 진단 모델의 강점과 내정간섭 모델에 대한 반응을 고려합니다.

요컨대, 이 논문의 목적은 어린 나이에 난독증을 검출하기 위한 제안된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이 신경 발달 무질서의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진단 절차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밖 comorbid 무질서에서 그것을 분화하기 위하여, 초기 나이에서, 밖으로 설정합니다. 이러한 특정 학습 장애의 진단을 위해, 프로토콜은 읽기 및 쓰기에 대한 적절한 지시(개입 모델에 대한 응답) 및 불일치, 배제 및 특이성 기준(진단 모델)에 대한 적절한 지시 후 특정 인지 및 언어 결정자의 평가를 고려합니다. 행동 프로토콜은 여러 단계에 걸쳐 개발, 교육의 다른 유형에 따라, 우리는 지능의 평가를위한 표준화 된 시험과 함께 부모및 교사와 구조화 된 인터뷰의 사용을 제안, 읽기 및 쓰기, 뿐만 아니라 문제의 모양을 결정하는 위험 요소. 이 작업 프로토콜은 난독증을 검출하기 위한 동적 모델을 제공하며, 이는 다른 comorbid 문제와 구별하고 그 특성과 결정요인을 식별하여 조기에 효과적인 예방을 제공합니다.

Protocol

이 본 연구는 인간과 연구의 개발을위한 윤리적 원칙을 확립 헬싱키 선언에 따라 개발되었다. 또한, 그것은 지침을 따르고 말라가 대학의 실험 윤리위원회 (CEUMA)에 의해 승인되었다. 참고 : 아래에 제시 된 프로토콜은 초등 교육 (6 세)의 첫 해부터 시작하여 교사의 협력으로 학교 환경 내의 심리학자에 의해 수행되어야합니다(그림 6). <p class="jove_content…

Representative Results

이 다음 섹션에서는 제안된 작업 프로토콜에 따라 난독증진단을 받은 한 학생이 얻은 일련의 대표적인 결과를 제시합니다. 표 1은 1학년 초등학생이 음운 의식, 알파벳 지식, 어휘, 독창성 및 이해력, 일반 읽기 및 쓰기 교육 을 통해 얻은 점수를 보여줍니다.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이 그림 7에표시된 수평 선에 따라 그룹이 달성한 평균에 가까…

Discussion

이 연구에서는, 우리는 학교 환경 내의 초등 교육에서 1 학년에서 적용될 제안된 난독증 탐지 프로토콜을 제시했습니다. 이 동작 프로토콜은 진단 모델8,,13,,32 및 내정간섭 모델21,22,,,33,,34,,35,,<sup…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이 작품은 안달루시아 지방 정부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스페인), 자금에 대한 공개 호출을 통해, SEJ-521 연구 그룹에 의해 적용, 학습 장애 및 개발 장애.

Materials

PROLEC-R. Batería de Evaluación de los Procesos Lectores TEA ediciones This Instrument assess of reading performance
The dyslexia Screening Test-Junior Pearson Assessment Screening tests for dyslexia (writing, comprehension reading, phonological awareness, knowledge of the alphabet, vocabulary)
The Wesch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5 edition Pearson Assessment This instrument assess the intelligence

References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Manual Diagnóstico y Estadístico de los Trastornos Mentales. 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 (2014).
  2. Katusic, S. K., Collingan, R. C., Barbaresi, W. J., Schaid, D. J., Jacoben, S. J. Incidence of reading disability in a population-based birth cohort 1976-1982. Mayo Clinic Proceedings. 76, 1081-1092 (2001).
  3. Shaywitz, S. E., Shaywitz, B. A., Fletcher, J., Escobar, M. Prevalence of reading disability in boys and girls: results of the Connecticut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4, 998-1002 (1990).
  4. Siegel, L. S. Issues in the definition and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2, 304-319 (1999).
  5. Jiménez, J. E., et al. Do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practice differ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ith and without IQ-achievement discrepancy.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6, 34-47 (2003).
  6. Swanson, H. L., Horskyn, M., Lee, C. .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meta-analysis of treatment outcome. , (1999).
  7. Stuebing, K. K., et al. Validity of IQ-discrepancy classifications of reading disabilities: A meta-analysi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9, 469-518 (2002).
  8. Speece, D. L., Case, L. P., Molloy, D. E. Responsiveness to general education instruction as first gate to learning disabilities identification.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8, 147-156 (2003).
  9. Committee for Learning Disabilities. . Committee for Learning Disabilities Collective Perspective on Issues Affecting Learning Disabilities: Position Papers and Statements. , (2001).
  10. Soriano, M. Dificultades en el Aprendizaje. Grupo Editorial Universitario. , (2006).
  11. Kavale, K. A., Forness, S. R. What definitions of learning disabilities say and don’t say. 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3, 239-256 (2000).
  12. Fletcher, J. M., Bradly, R., Danielson, L., Hallahan, D. P., et al. Class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m evidence-based evaluation.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disabilities. Research into practice. , (2002).
  13. Lyon, G. R., Fletcher, J. M., Barnes, M. C., Mash, J., Barkley, R. A. Learning disabilities. Child Psychopathology. , (2003).
  14. Fawcett, A. J., Nicolson, R. I. Persiste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deficit in older children with dyslexia. Reading and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7, 361-376 (1995).
  15. Rack, J. P., Snowling, M. L., Olson, R. K. The nonword Reading deficit in developmental dyslexia: a review. Reading Research Quarterly. 25, 28-53 (1992).
  16. Fawcett, A., Nicholson, R. Dyslexia: The role of the cerebellum. European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4, 35-58 (2004).
  17. Virsu, V., Lahti-Nuuttila, P., Laasonen, M. Crossmodal temporal pressong acuity impairments aggravates with age in developmental dislexia. Neurosciencies Letters. 336, 151-154 (2003).
  18. Jiménez, J. E. . Modelo de respuesta a la intervención. Un enfoque preventivo para el abordaje de las dificultades de aprendizaje. , (2019).
  19. Fuchs, L. S., Fuchs, D. Treatment Validity: A unifying concept for reconceptualizing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3, 204-219 (1998).
  20. Fuchs, D., Fuchs, L. S., Compton, D. L. Identifying Reading disabilities by responsiveness to instruction: Specifying measures and criteria.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7, 216-227 (2003).
  21. Fuchs, D., Mock, D., Morgan, P. L., Young, C. L.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Definitions,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field.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8, 157-171 (2003).
  22. Vaughn, S., Fuchs, L. S. Redefining learning disabilities as inadequate response to instruction: the promise and potential problem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8, 137-146 (2003).
  23. Kavale, K. A., Holdnack, J. A., Mostert, M. P.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A critique and alternative proposal.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8, 2-16 (2005).
  24. Jiménez, J. E., Crespo, P., Jiménez, J. E. Modelo de respuesta a la intervención: definición y principales componentes. Modelo de respuesta a la intervención. Un enfoque preventivo para el abordaje de las dificultades específicas de aprendizaje. , (2019).
  25. Cuetos, F., Rodríguez, B., Ruano, E., Arribas, D. PROLEC-R. Batería de Evaluación de los Procesos Lectores. TEA ediciones. , (2012).
  26. Fawcett, A. J., Nicolson, R. I. . The dyslexia Screening Test-Junior. , (2004).
  27. Weschler, D. . The Wesch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5th edition. , (2005).
  28. Babayigit, S., Stainthorp, R. Mode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linguistic skills and literacy skills: new insights from a transparent orthograph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3, 169-189 (2011).
  29. Caravolas, M., et al. Different patterns, but equivalent predictors, of growth in reading inconsistent and inconsistent orthographies. Psychological Science. 20, 1-10 (2013).
  30. Georgiou, G. K., Parrilla, R., Papadopoulos, T. C. Predictors of word decoding and reading fluency across languages varying in orthographic consistenc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 466 (2008).
  31. González-Valenzuela, M. J., Díaz-Giráldez, F., López-Montiel, D. Cognitive predictors of word and pseudoword Reading in Spanish First-Grade Children. Frontiers in Psychology. 7 (774), 1-12 (2016).
  32. Stuebing, K. K., Fletcher, J. M., Branum-Martin, L., Francis, D. J. Evaluation of the technical adequacy of three methods for identifying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cognitive discrepancies. School Psychology Review. 41, 3-22 (2012).
  33. Fletcher, J. M., Vaughn, S.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A decade later.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5 (3), 195-203 (2012).
  34. Vaughn, S., et al. Effects of intensive reading intervention for eighth-grade students with persistently inadequate response to interventio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5, 515-525 (2012).
  35. Brown Waesche, J. S., Schatschneider, C., Maner, J. K., Ahmed, Y., Wagner, R. K. Examining agreement and longitudinal stability among traditional and RTI-based definitions of reading disability using the affected-status agreement statistic.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4, 296-307 (2011).
  36. Stuebing, K. K., et al. Are child cognitive characterstics strong predictors of response to intervention?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8, 1-22 (2014).
  37. González-Valenzuela, M. J., Soriano-Ferrer, M., Delgado-Ríos, M., Félix-Mateo, V. How are Reading Disabilities Operationalized in Spain? A Study of Practicing School Psychologists. Journal of Childhood & Developmental Disorders. 2, 3-23 (2016).
  38. Machek, G. R., Nelson, J. M. How should reading disabilities be operationalized? A survey of practicing school psychologist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22 (2), 147-157 (2007).
  39. Speece, D. L., Shekitka, L. How should reading disabilities be operationalized? A survey of expert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7, 118-123 (2002).
check_url/60858?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González-Valenzuela, M., Martín-Ruiz, i. Assessing Dyslexia at Six Year of Age. J. Vis. Exp. (159), e60858, doi:10.3791/60858 (2020).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