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심화 접근에 의한 새로운 세포 내 병원균의 발견

Published: October 27, 2013
doi:

Summary

Amoebal 공 배양 선택적 같은 아메바 및 대 식세포와 같은 식세포에 저항 할 수 세포 내 병원체를 성장 자기편 아메바를 사용하여 세포 배양 시스템이다. 그것은 따라서 새로운 감염원을 발견 할 수있는 중요한 도구를 나타냅니다. Amoebal 농축 새로운 amoebal 종과 특정 세포 내 박테리아의 발견을 할 수 있습니다.

Abstract

이러한 레지오넬라 균, 결핵균과 클라미디아 같은 생물로 세포 내 병원균은 종종 전혀 보통 박테리아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선택적 미디어에 저조한 여부 성장하기 때문에 분리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병원체의 대부분은 단지 최근에 발견되거나 중요한 발병을 다음 하였다. 이 병원균은 종종 호스트 세포의 역할과 박테리아의 생존과 성장을 할 수 아메바와 관련이있다.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농축 : 우리는 임상 및 환경 샘플에서 세포 내 병원균의 분리 및 특성이 존재 수있는 두 가지 기술의 데모를 제공하기 위해 여기를하려고합니다. Amoebal 공 배양 샘플에 존재하는 세포 내 세균에 의해 감염 용해 할 수있는 amoebal 잔디에 조사 된 샘플을 접종하여 세포 내 박테리아의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Amoebal 농축은 임상 적 또는 환경 샘플에서 아메바의 복구가 존재 할 수 있습니다. 일또한이 아메바에 특히 성장의 새로운 세포 내 박테리아의 새로운 amoebal 종의 발견으로 이어질 수있다. 함께,이 두 가지 기술은 아메바에서 성장할 수 새로운 세포 내 박테리아를 발견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때문에 아메바 감염 및 식균 작용에 저항 할 수있는 능력으로,이 세포 내 박테리아는 또한 대 식세포에 의해 포식 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높은 진핵 생물에 대한 병원성.

Introduction

분자 진단의 도래하기 전에, 환경 틈새 시장 또는 임상 샘플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종종 주로 배양 접시에있는 한천에, 다른 선택 배지에 그들을 양성으로 검출되었다. 세균성 식민지와 그들의 신진 대사 활동의 표현형은 종 수준에서 세균의 분류를 허용했다. 다시 물은 또한 검출의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있다. 그러나 두 기술의 모든 미디어에 천천히 여부 성장 박테리아의 복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 분자 접근 방식이 널리 오늘날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NA의 검출은 세균의 생존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반하여 문화, 분자 접근은 더욱 특성화 될 수있는 변형을 초래하지 않습니다.

성장 고체 미디어 또는 그 필요 세포에 제대로 성장 병원체를 공부하는 것은 복잡하다. 이들의 대부분은 박테리아가 까다로운 INTR은 "어려운 성장 전망"무 세포 박테리아, 종종 발견하고 레지오넬라 뉴모 필라의 경우와 같이 큰 발생 다음과 같은 특징. 이 박테리아는 미국 재향 군인회의 대회 기간 동안 발생한 발발 다음과 같은 특징이되었다. 많은 182과 같은 사람은 감염 29 인해 심각한 폐렴 1,2에 사망했다. 그것은 나중에 아메바는 자연이 박테리아의 호스트와 호텔 에어컨 시스템과 물 네트워크에서 자신의 존재가 소위 군단의 병사의 질병 3의 발발의 원점이라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메바는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고 토양, 공기, 물, (4 검토) 지원자의 코 점막에서 분리되었다. 이러한 "자유 생활"아메바는 일반적으로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분할되지만 가끔 관대 한 호스트 5에 침입 할 수 있습니다. HY으로 식균 작용 및 후속 리소좀 소화를 통해 다양한 미생물에 아메바 공급drolases 6. 많은 통성 또는 의무 세포 내 박테리아가 소화에 저항하기 때문에 감염 예 레지오넬라 균, 클라미디아 관련 세균이나 진균 등 아메바에 나누어 (7 검토하고 8) 할 수 있습니다. 자유 생활 아메바 가능성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세포 내 박테리아의 중요한 잠재적 인 저수지를 나타냅니다. 이 로잔에있는 다른 그룹은 다양한 환경 시료 9-15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의무를 세포 내 미생물을 분리 할 수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농축이라는 두 가지 주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그룹을 이끌었다.

아메바 세균에 방목 전문 식세포 때문에, 식균 작용에 저항하고있는 원생 생물 안에 성장할 수 박테리아는 인간의 식세포 집락과 인간을 향한 병원성 수 있습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이러한 Waddlia 초와 같은 일부 클라미디아 관련 박테리아에 대한 입증되었다ndrophila. W. chondrophila은 아메바에서뿐만 아니라, 포유류의 상피 세포, 대 식세포, 물고기 세포주 16-18로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뿐만 아니라 증가 할 수 있습니다. amoebal 공 배양는 크게 다른 세균 종 (21) 오염 의자 등의 임상 샘플 19, 20, 세포 내 박테리아를 검출 관련이 나타납니다.

무균 미디어 아메바의 (b)는 성장과 대장균 박테리아 잔디 및 (c) 선정 및 특성, 여기에서 우리는 환경이나 임상 시료의 () 처리를 포함,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농축의 주요 단계를 설명 세포 내 박테리아의.

Protocol

1. Amoebal 공 배양 1.1 시료 준비 환경 샘플 물 샘플 0.22 ㎛의 공극 크기 막을 통해 물 샘플 (1 L에, 500 ㎖)을 고를. 그런 다음, (페이지의 아메바 식염수 매체 PAS에 막 흔들 염화나트륨 120 ㎎, 망초 4 MG • 7H 2 O, 염화칼슘 4 MG • 2H 2 O, 나 2 HPO 4 142 ㎎, 및 KH 136 밀리그램 증류수 1 L의 <…

Representative Results

amoebal 공 배양과 amoebal 농축을 사용하여, 환경 및 / 또는 병원성 세균의 전체 범위는 (표 1)를 발견 하였다. Amoebal 공 배양은 환경 시료, 물 처리 플랜트, 물 분배 시스템을 분석하는 단체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미생물의 넓은 범위는이 기술로 분리 할 수​​ 있습니다. amoebal 공 배양하여 분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박테리아가 물 처리 공장에서 물 네트워…

Discussion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농축 많은 새로운 세균과 amoebal 종의 분리를 허용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는 아메바와 환경의 아메바 저항 박테리아 모두의 유비쿼터스 존재를 확인하고, 가장 흥미로운 같은 염소 및 오존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인공 물 네트워크에서.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농축은 분리 및 배양이 잠재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을 ?…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우리는 잠을 감사합니다. 도움이 기술적 조언 및 amoebal 공 배양 및 amoebal 농축에 대한 흥미로운 논의 베르나르 라 스콜라. 우리는 또한 우리의 실험실에서 기술을 구현하는 그의 도움을 박사 빈센트 토마스 감사합니다.

Materials

Name of Reagent/ Equipment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Description
Glucose monohydrate Merck, Darmstadt, Germany 108342
0.22 μm pore size membrane Merck Millipore, Darmstadt, Germany SCVPU11RE
proteose peptone Becton-Dickinson, Franklin Lakes, NJ 211693
yeast extract Becton-Dickinson, Franklin Lakes, NJ 212750
Cell culture flasks Becton-Dickinson, Franklin Lakes, NJ 353135
Kova slide Hycor, Indianapolis, IN 87144
cell culture microplates Corning Inc, Corning, NY 3524
Diff-Quik staining kit Siemens Healthcare diagn., Munich, Germany 130832
Ziehl fuchsin Fluka, St-Louis, MI 21820
basic fuchsin Sigma, St-Louis, MI 857843
Phenol Sigma, St-Louis, MI P1037 Corrosive and mutagenic
malachite green oxalate Fluka, St-Louis, MI 63160
Paraformaldehyde 16% solution Electron Microscopy Sciences, Hatfield, PA 15710
Saponin Sigma, St-Louis, MI 84510

References

  1. Fraser, D. W., et al. Legionnaires’ disease: description of an epidemic of pneumonia. New Engl. J. Med. 297, 1189-1197 (1977).
  2. McDade, J. E., et al. Legionnaires’ disease: isolation of a bacterium and demonstration of its role in other respiratory disease. New Engl. J. Med. 297, 1197-1203 (1977).
  3. Rowbotham, T. J. Preliminary report on the pathogenicity of Legionella pneumophila for freshwater and soil amoebae. J. Clin. Pathol. 33, 1179-1183 (1980).
  4. Rodriguez-Zaragoza, S. Ecology of free-living amoebae. Crit. Rev. Microbiol. 20, 225-241 (1994).
  5. Booton, G. C., Visvesvara, G. S., Byers, T. J., Kelly, D. J., Fuerst, P. A.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Acanthamoeba species genotypes associated with nonkeratitis infections. J Clin. Microbiol. 43, 1689-1693 (2005).
  6. Brussow, H. Bacteria between protists and phages: from antipredation strategies to the evolution of pathogenicity. Molecular microbiology. 65, 583-589 (2007).
  7. Greub, G., Raoult, D. Microorganisms resistant to free-living amoebae. Clin. Microbiol. Rev. 17, 413-433 (2004).
  8. Thomas, V., McDonnell, G., Denyer, S. P., Maillard, J. Y. Free-living amoebae and their intracellular pathogenic microorganisms: risks for water quality. FEMS Microbiol Rev. 34, 231-259 (2010).
  9. Birtles, R. J., Rowbotham, T. J., Storey, C., Marrie, T. J., Raoult, D. Chlamydia-like obligate parasite of free-living amoebae. Lancet. 349, 925-926 (1997).
  10. Amann, R., et al. Obligate intracellular bacterial parasites of acanthamoebae related to Chlamydia spp. Appl. Environ. Microbiol. 63, 115-121 (1997).
  11. Birtles, R. J., et al. Candidatus Odyssella thessalonicensis’ gen. nov., sp. nov., an obligate intracellular parasite of Acanthamoeba spec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63-72 (2000).
  12. Thomas, V., Casson, N., Greub, G. Criblamydia sequanensis, a new intracellular Chlamydiales isolated from Seine river water using amoebal co-culture. Environ. Microbiol. 8, 2125-2135 (2006).
  13. Pagnier, I., Raoult, D., La Scola, B.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moeba-resisting bacteria from water in human environment by using an Acanthamoeba polyphaga co-culture procedure. Environ. Microbiol. 10, 1135-1144 (2008).
  14. Thomas, V., Loret, J. F., Jousset, M., Greub, G. Biodiversity of amoebae and amoebae-resisting bacteria in a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Environ. Microbiol. 10, 2728-2745 (2008).
  15. Corsaro, D., et al. Novel Chlamydiales strains isolated from a water treatment plant. Environ. Microbiol. 11, 188-200 (2009).
  16. Goy, G., Croxatto, A., Greub, G. Waddlia chondrophila enters and multiplies within human macrophages. Microbes Infect. 10, 556-562 (2008).
  17. Kebbi-Beghdadi, C., Cisse, O., Greub, G. Permissivity of Vero cells, human pneumocytes and human endometrial cells to Waddlia chondrophila. Microbes Infect. 13, 566-574 (2011).
  18. Kebbi-Beghdadi, C., Batista, C., Greub, G. Permissivity of fish cell lines to three Chlamydia-related bacteria: Waddlia chondrophila, Estrella lausannensis and Parachlamydia acanthamoebae. FEMS Immunol. Med. Microbiol. 63, 339-345 (2011).
  19. Fry, N. K., Rowbotham, T. J., Saunders, N. A., Embley, T. M. Direct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the 16S ribosomal DNA of an intracellular Legionella species recovered by amoebal enrichment from the sputum of a patient with pneumonia. FEMS Microbiol. Lett. 67, 165-168 (1991).
  20. Rowbotham, T. J. Isola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from human feces with use of amebic cocultures. Clin. Infect. Dis. 26, 502-503 (1998).
  21. Greub, G., La Scola, B., Raoult, D. Amoebae-resisting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nasal swabs by amoebal coculture. Emerging Infect. Dis. 10, 470-477 (2004).
  22. Isenberg, H. D. . Clinical microbiology procedures handbook. , (1992).
  23. Gimenez, D. F. Staining Rickettsiae in Yolk-Sac Cultures. Stain Technol. 39, 135-140 (1964).
  24. Thomas, V., Herrera-Rimann, K., Blanc, D. S., Greub, G. Biodiversity of amoebae and amoeba-resisting bacteria in a hospital water network. Appl. Environ. Microbiol. 72, 2428-2438 (2006).
  25. Miyamoto, H., et al. Development of a new seminested PCR method for detection of Legionella species and its application to surveillance of legionellae in hospital cooling tower water. Appl. Environ. Microbiol. 63, 2489-2494 (1997).
  26. Lienard, J., et al. Development of a new chlamydiales-specific real-time PCR and its application to respiratory clinical samples. J. Clin. Microbiol. 49, 2637-2642 (2011).
  27. Wang, Y., Ogawa, M., Fukuda, K., Miyamoto, H., Taniguchi, 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a from soils at an illegal dumping site and landfills in Japan. Microbiol. Immunol. 50, 513-524 (2006).
  28. Corsaro, D., Pages, G. S., Catalan, V., Loret, J. F., Greub, G. Biodiversity of amoebae and amoeba-associated bacteria in water treatment plants. Int. J. Hygiene Environ. Health. 213, 158-166 (2010).
  29. La Scola, B., et al. Legionella drancourtii sp. nov., a strictly intracellular amoebal pathogen.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699-703 (2004).
  30. Thomas, V., Casson, N., Greub, G. New Afipia and Bosea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water sources by amoebal co-culture. Syst. Appl. Microbiol. 30, 572-579 (2007).
  31. La Scola, B., et al. Amoeba-resisting bacteria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Emerging Infect. Dis. 9, 815-821 (2003).
  32. Collingro, A., et al. Recovery of an environmental Chlamydia strain from activated sludge by co-cultivation with Acanthamoeba sp. Microbiology. 151, 301-309 (2005).
  33. Lienard, J., Croxatto, A., Prod’hom, G., Greub, G. Estrella lausannensis, a new star in the Chlamydiales order. Microbes Infect. 13, 1232-1241 (2011).
  34. La Scola, B., et al. A giant virus in amoebae. Science. 299, 2033 (2003).
  35. Boyer, M., et al. Giant Marseillevirus highlights the role of amoebae as a melting pot in emergence of chimeric microorganisms. Proc. Natl. Acad. Sci. U.S.A. 106, 21848-21853 (2009).
  36. Thomas, V., et al. Lausannevirus, a giant amoebal virus encoding histone doublets. Environ. Microbiol. 13, 1454-1466 (2011).
  37. Raoult, D., Renesto, P., Brouqui, P. Laboratory infection of a technician by mimivirus. Ann. Internal Med. 144, 702-703 (2006).
  38. Greub, G. Parachlamydia acanthamoebae, an emerging agent of pneumonia. Clin. Microbiol. Infect. 15, 18-28 (2009).
  39. Lamoth, F., Greub, G. Amoebal pathogens as emerging causal agents of pneumonia. FEMS Microbiol. Rev. 34, 260-280 (2010).
  40. Lienard, J. G., Ashbolt, K., Sen, N. J. Ch. 6. Environmental microbiology, current technology and water applications. , 143-162 (2011).
  41. Boughalmi, M., et al. High-throughput isolation of giant viruses of the Mimiviridae and Marseilleviridae families in the Tunisian environment. Environ. Microbiol. , (2012).
  42. Ovrutsky, A. R., et al. Cooccurrence of Free-Living Amoebae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in Hospital Water Networks, and Preferential Growth of Mycobacterium avium in Acanthamoeba lenticulata. Appl. Environ. Microbiol. 79, 3185-3192 (2013).
check_url/kr/51055?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Jacquier, N., Aeby, S., Lienard, J., Greub, G. Discovery of New Intracellular Pathogens by Amoebal Coculture and Amoebal Enrichment Approaches. J. Vis. Exp. (80), e51055, doi:10.3791/51055 (2013).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