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거대 분자 군중을 사용하여 인간의 절단 비대 흉터의 시험관 내 모델

Published: May 01, 2020
doi:

Summary

이 프로토콜은 생체 외 조건에서 유사한 시험관 내 인간 비대 흉터 조직 모델을 만들기 위해 거대 분자 crowding의 사용을 설명합니다. 혼잡한 거대 분자 환경에서 재배될 때,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는 흉터 조직을 닮은 표현형, 생화학, 생리학 및 기능적 특성을 나타낸다.

Abstract

생체 내 조직은 단백질, 핵산, 리보뉴클레오 단백질, 다당류 등에 의해 매우 혼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 프로토콜은 시험관 내 세포 배양에 중성 중합체(crowders)를 첨가하여 이러한 생리적 군중을 모방하기 위해 거대 분자 crowding(MMC) 기술을 적용한다. 크라우드로 Ficoll 또는 dextran을 사용하여 이전 연구는 WI38 및 WS-1 세포주에서 콜라겐 I과 섬유넥틴의 발현이 MMC 기술을 사용하여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 기술은 1 차적인 비대 흉터 유래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hHSFs)에서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콜라겐의 과도한 증착로 인해 비대성 흉터가 발생함에 따라, 이 프로토콜은 hHSFs로 MMC 기술을 적용하여 시험관 내 비대 흉터 모델이 풍부한 콜라겐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최적화된 MMC 모델은 기존의 2차원(2-D) 세포 배양 시스템에 비해 생체 내 흉터 조직과 더 많은 유사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물 모델에 비해 비용 효율적이고 시간 효율적이며 윤리적으로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여기에 보고된 최적화된 모델은 비대 성 흉터 관련 연구를 위한 고급 “생체 내”모델을 제공합니다.

Introduction

흉터 조직은 조직 복구의 종점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많은 개인에서, 특히 화상이나 외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1,흉터는 과도 할 수 있으며 치유 된 피부의 형태와 기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병리학적(비대 흉터 및 켈로이드) 흉터 형성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지만, 상처 치유 시 콜라겐의 과도한 침착은 필수적인 기여로 입증되었다2.

성장 인자 베타 1 (TGF-β1)과 알파 평활근 액틴 (αSMA)을 변형시키는 것이 비대 흉터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것은 잘 확립되어 있습니다. 증거는 높은 TGF-β1이 SMAD 신호 통로를 조절해서 콜라겐의 과도한 침착을 직접 자극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 또한, αSMA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세포 수축 및 재피상화를 조절함으로써 비대성 흉터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모델의 부족은 흉터 치료에 대한 내정간섭 및 치료법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큰 장애가 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MMC 기술을 활용하여 신규 및 신흥 흉터 관련 개입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생체 내 와 같은” 비대 흉터 모델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신체 외부의 살아있는 조직을 재현하는 것은 과학 계에서 수년 동안 목표였습니다. 20 세기 초에 체외 기술의 발달은 부분적으로 이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현재 시험관내 기술은 배아 세포가 따뜻한 식염수5에서며칠 동안 생체 내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루의 원래 데모에서 약간 진화했다. 그러나, 시험관내 방법론은 대부분 2-D에서 재배된 단일 세포 유형으로 제한되며 생체 내에서 조직을 정확하게 재봉화하지 는 않는다. 세포 생화학, 생리학 및 유전학을 검사하는 데 유용하지만, 네이티브 조직은 3-D이며 여러 세포 유형을 통합합니다. 간단한 2-D 체외 시스템에서는 포유동물 세포를 고도로 인공적인 환경으로 적용하여 원어민 조직 특이적 아키텍처가 손실되는6. 차례로, 이것은 비정상적인 세포 형태, 생리학 및 행동7의결과로 세포 내 및 세포 외 사건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프로토콜뒤에 관심은 비대 흉터 및 켈로이드의 발달 그리고 임상 관리에 있습니다. 진피 섬유아세포가 흉터 조직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풍부한 생산에 크게 책임이 있다는 것은 잘 확립되어 있지만, 생체내 2-D 시스템을 이용한 진피 섬유아세포 배양은 생체 내에서 관찰된 콜라겐의 회전율을 재현하지 못한다8. 현대 체외 방법은 여전히 본질적으로 “따뜻한 식염수”를 사용, 살아있는 조직에서 완전히 다른 환경. 생체 내 조직은 단백질, 핵산, 리보뉴클레오 단백질 및 다당류로 매우 혼잡하여 전체 부피의 5 %-40 %를 차지합니다. 두 분자가 동시에 동일한 공간을 차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공간이 거의 없으며 자유 물9이거의 완전하지 않습니다.

MMC 기술은 시토솔 및 간질 유체의 열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 조건을 부과합니다. 분자 상호 작용, 수용체 -리간드 신호 복합체, 효소 및 세포기관은 자유롭게 상호 작용에서 제한됩니다9. pericellular 환경 내의 상호 작용 (즉, interstitium) 또한 제한됩니다. 최근의 증거는 혼잡한 용액에서 불활성 거대분자의 고농도가 확산, 물리적 연관, 점도 및 유체역학적성질(10)을확인한다.

흥미롭게도, 몇몇 대중적인 군집 에이전트 (즉, Ficoll, dextran,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및 나트륨 4-스티렌설포네이트 [PSS])는 다른 세포 유형 및 다른 설정에 적용될 때 동등하지 않다. 한 이전 연구에서, Ficoll PVP에 비해 중간 엽 줄기 세포에 대 한 덜 세포 독성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전하 및 상대적으로 작은 유체역학적반경(11)의결과로 해석되었다. 대조적으로, 두 번째 연구는 dextran이 Ficoll12에비해 인간 폐 섬유아세포에 의한 콜라겐 I 증착을 자극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우리 자신의 연구에서 데이터는 Ficoll이 비대 흉터 파생 섬유 아세포에 의한 콜라겐 침착을 향상시키는 반면 PVP는 이 세포에 독성이 있음을시사합니다 13.

프로콜라겐에서 콜라겐으로의 전환이 생체 내환경(14)에서더 빠르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생물학적 반응의 속도는 희석된 2-D 배양시스템(15)에서지연된다. 우리는 여기에서 시험관 내 프로토콜을 최적화했습니다, 진피 섬유아세포의 경작을 보여주기 위하여 MMC를 통합하는 것은 진피 섬유증과 흉터 대형을 위한 더 “생체내” 모형으로 봉사하는. 일반적인 2-D 배양 시스템과는 달리, MMC를 사용하여 hHSFs를 배양하면 콜라겐의 생합성 및 침착을 현저하게자극하는 13. 특히, 섬유증의 다른 특성(즉, 매트릭스 금속종단백체족제[MMPs]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된 발현)도 이 최적화된 MMC프로토콜(13)에따라 명백하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경작하면, 진피 세포가 생체 내에서 측정된 생리적, 생화학적 및 기능적 파라미터를 재환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MMC 체외 프로토콜은 비대성 흉터 진피 및 관련되지 않은 인접 진피로부터 분리된 진피 섬유아세포에 의한 콜라겐 및 기타 ECM 단백질의 발현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시험관내 MMC 환경에서 재배될 때, hHSFs는 생체 내에서 진피 비후성 흉터 조직과 유사한 특정 특성(즉, mRNA, 생화학, 생리학 및 표현형)을 발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증거는 군중을 선택하고 시험관에서 재배를위한 MMC 조건을 최적화 할 때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이 중요한 고려 사항임을 나타냅니다.

원리 증명을 위해, MMC 프로토콜은 세포 자멸을 유도하는 Shikonin 및 그것의 유사체의 능력을 질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적용됩니다. 이것은 진피 흉터 를 관리하기위한 이러한 자연적으로 파생 된 중국 의학 (한의학) 화합물의 잠재적 인 응용 프로그램의 평가를 허용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험관 내 MMC 프로토콜의 단순성, 비용 효율성 및 적시성은 EU 지침 2010/63/EU 및 미국 환경 보호국(EPA)에 의한 포유류 실험을 제거하기 위한 최근의 규정을 만족시고 있습니다.

Protocol

1. 세포 배양 Dulbecco의 변형 된 독수리 배지 (DMEM)에서 비 병리학 조직 (hNSFs)에서 파생 된 hHSFs 및 정상 진피 섬유 아세포유지 10% 태아 송아지 혈청 (FCS) 및 1 % v / v / v 페니실린 / 스트렙2토마이신 용액 (P / S) 37 ° C 인쿠베토 에서 27 ° C 인쿠베2 해당 회사에서 Ficoll 70, Ficoll 400 및 아스코르브산을 구입하십시오. 2. MMC 비대 흉터 모델의 건설 hHSFs 또?…

Representative Results

삼중항 샘플을 각 실험에서 수행하였고, 각 실험은 3명의 개별 환자로부터 세포를 사용하여 3배 반복하였다. 데이터는 대조군의 백분율로 표현됩니다. 단방향 ANOVA 및 Tukey의 사후 테스트는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되었습니다(*p °F 0.05). 9% FVO(분수부 체적 점유율)에서 Ficoll을 사용하는 MMC는 hHSF13에서콜라겐 및 콜라겐 I 증착의 총량을 향상시?…

Discussion

이 프로토콜은 인간 절단 흉터 조직에 대한 시험관 내 모델에서 개선 된 :scar-in-a-jar”을 최적화하고 인증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이전 연구는 인간 폐섬유아세포(12)및 인간 골수 중간엽줄기세포(23)에MMC 기법을 적용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인간 진피섬유아세포(23)는 덱스트렌12,Ficoll12,및 PVP23을</…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이 작품은 싱가포르 과학 기술 연구 기관 “SPF 2013/004: 피부 생물학 기초 연구”와 “열대 지방을 위한 상처 관리 혁신” IAF-PP/2017 (HBMS) H17/01/a0/009의 자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자들은 폴라 베니 박사와 마이클 라구나스 박사의 조언과 도움을 감사하게 도배합니다.

Materials

0.2 μm filter Sartorius 16534
2-Mercaptoethanol Sigma-Aldrich M6250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Thermo Fisher Scientific P36962
Alexa Fluor 680 Thermo Fisher Scientific A-21076
Alexa Fluor 800 Thermo Fisher Scientific A-11371
alpha smooth muscle actin (αSMA) primary antibody Abcam ab5694
Applied Biosystems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thermal cycler ) Thermo Fisher Scientific 4351106
Ascorbic acid Wako #013-12061
Bovine serum albumin Sigma-Aldrich #A2153
Bradford protein assay Bio-Rad 500-0006
Collagen I primary antibody (for immunostaining) Abcam 6308
Collagen I primary antibody (for western blot) Abcam ab21286
Collagen III primary antibody Abcam ab7778
Collagen IV primary antibody Abcam ab6586
Direct Red 80 Sigma-Aldrich 2610108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Life Technologies 11996-065
Fetal calf serum (FCS) Life Technologies 6000-044
Ficoll 400 GE HealthCare #17-0300-10
Ficoll 70 GE HealthCare #17-0310-10
GAPDH primary antibody Sigma-Aldrich G8795
Goat Anti-Rabbit secondary antibody Abcam ab97050
Human hypertrophic scar/normal fibroblasts (hHSF/hNSF) Cell Research Corporation 106, 107, 108
iScript cDNA Synthesis Kit Bio-Rad #1708890
MMP-1 primary antibody Abcam ab38929
MMP-13 primary antibody Abcam ab39012
MMP-2 primary antibody Abcam ab37150
MMP-9 primary antibody Abcam ab38898
NanoDrop Microvolume Spectrophotometers Thermo Fisher Scientific N/A
Nitrocellulose membrane Bio-Rad 10484060
NuPAGE 4-12% Bis-Tris Protein Gels Thermo Fisher Scientific NP0321BOX
Odyssey blocking buffer LI-COR Biosciences 927–40000
Odyssey Fc Imaging System LI-COR Biosciences N/A
Olympus IX-81 HCS microscope (for immunostaining) Olympus N/A
Penicillin/streptomycin solution (P/S) Life Technologies 15140-122
PrimePCR Assays Bio-Rad Customized primers pre-coated in 96-well plates based on requirement
Protease inhibitor cocktail (PIC) Sigma-Aldrich 11697498001
PVP 360 Sigma #PVP360
PVP 40 Sigma #PVP40
RIPA buffer Merck R0278
RNeasy Plus Mini Kit QIAGEN #74134
Sodium vanadate Sigma-Aldrich 450022
Sodium vanadate Sigma-Aldrich 450243
SpectraMax M5 Multi-Mode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N/A
SsoAdvanced universal SYBR green supermix Bio-Rad #172-5270
Tween 20 Sigma-Aldrich P9416

References

  1. vander Veer, W. M., et al. Potential cellular and molecular causes of hypertrophic scar formation. Burns. 35 (1), 15-29 (2009).
  2. Linge, C., et al. Hypertrophic Scar Cells Fail to Undergo a Form of Apoptosis Specific to Contractile Collagen[mdash]The Role of Tissue Transglutaminas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5 (1), 72-82 (2005).
  3. Penn, J. W., Grobbelaar, A. O., Rolfe, K. J. The role of the TGF-beta family in wound healing, burns and scarring: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urns and Trauma. 2 (1), 18-28 (2012).
  4. Wang, X. Q., Kravchuk, O., Winterford, C., Kimble, R. M. The correlation of in vivo burn scar contraction with the level of alpha-smooth muscle actin expression. Burns. 37 (8), 1367-1377 (2011).
  5. Eitan, E., Zhang, S., Witwer, K. W., Mattson, M. P. Extracellular vesicle-depleted fetal bovine and human sera have reduced capacity to support cell growth.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 4, 26373 (2015).
  6. Pampaloni, F., Reynaud, E. G., Stelzer, E. H. K. The third dimension bridges the gap between cell culture and live tissue.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8 (10), 839-845 (2007).
  7. Kapalczynska, M., et al. 2D and 3D cell cultures – a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cancer cell cultures. Archives of Medical Science. 14 (4), 910-919 (2018).
  8. Lareu, R. R., Arsianti, I., Subramhanya, H. K., Yanxian, P., Raghunath, M. In vitro enhancement of collagen matrix formation and crosslinking for applications in tissue engineering: a preliminary study. Tissue Engineering. 13 (2), 385-391 (2007).
  9. Kuznetsova, I. M., Turoverov, K. K., Uversky, V. N. What macromolecular crowding can do to a protei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5 (12), 23090-23140 (2014).
  10. Chen, C., Loe, F., Blocki, A., Peng, Y., Raghunath, M. Applying macromolecular crowding to enhance extracellular matrix deposition and its remodeling in vitro for tissue engineering and cell-based therapie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3 (4-5), 277-290 (2011).
  11. Zeiger, A. S., Loe, F. C., Li, R., Raghunath, M., Van Vliet, K. J. Macromolecular Crowding Directs Extracellular Matrix Organization and Mesenchymal Stem Cell Behavior. PloS one. 7 (5), 37904 (2012).
  12. Chen, C. Z., et al. The Scar-in-a-Jar: studying potential antifibrotic compounds from the epigenetic to extracellular level in a single well.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58 (5), 1196-1209 (2009).
  13. Fan, C., et al. Application of “macromolecular crowding” in vitro to investigate the naphthoquinones shikonin, naphthazarin and related analogues for the treatment of dermal scars.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310, 108747 (2019).
  14. Canty, E. G., Kadler, K. E. Procollagen trafficking, processing and fibrillogenesis. Journal of Cell Science. 118, 1341-1353 (2005).
  15. Minton, A. P. Models for Excluded Volume Interaction between an Unfolded Protein and Rigid Macromolecular Cosolutes: Macromolecular Crowding and Protein Stability Revisited. Biophysical Journal. 88 (2), 971-985 (2005).
  16. Ernst, O., Zor, T. Linearization of the bradford protein assay.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38), e1918 (2010).
  17. Beltrame, C. O., Cortes, M. F., Bandeira, P. T., Figueiredo, A. M. Optimization of the RNeasy Mini Kit to obtain high-quality total RNA from sessile cells of Staphylococcus aureus. Brazilian Journal of Medical and Biological Research. 48 (12), 1071-1076 (2015).
  18. Xue, M., Jackson, C. J. Extracellular Matrix Reorganization During Wound Healing and Its Impact on Abnormal Scarring. Advances in wound care (New Rochelle). 4 (3), 119-136 (2015).
  19. Rohani, M. G., Parks, W. C. Matrix remodeling by MMPs during wound repair. Matrix Biology. 44-46, 113-121 (2015).
  20. Ulrich, D., Ulrich, F., Unglaub, F., Piatkowski, A., Pallua, N.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in patients with different types of scars and keloids. Journal of Plastic, Reconstructive & Aesthetic Surgery. 63 (6), 1015-1021 (2010).
  21. Ghazizadeh, M., Tosa, M., Shimizu, H., Hyakusoku, H., Kawanami, O. Functional Implications of the IL-6 Signaling Pathway in Keloid Pathogenesi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7 (1), 98-105 (2007).
  22. Wilgus, T. A., Ferreira, A. M., Oberyszyn, T. M., Bergdall, V. K., Dipietro, L. A. Regulation of scar formation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aboratory Investigation. 88 (6), 579-590 (2008).
  23. Rashid, R., et al. Novel use for polyvinylpyrrolidone as a macromolecular crowder for enhanced extracellular matrix deposition and cell proliferation. Tissue Engineering Part C: Methods. 20 (12), 994-1002 (2014).
  24. Lago, J. C., Puzzi, M. B. The effect of aging in primary human dermal fibroblasts. PloS one. 14 (7), 0219165 (2019).
  25. Cigognini, D., et al. Macromolecular crowding meets oxygen tension in human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 – A step closer to physiologically relevant in vitro organogenesis. Scientific Reports. 6, 30746 (2016).
  26. Cuttle, L., et al. A porcine deep dermal partial thickness burn model with hypertrophic scarring. Burns. 32 (7), 806-820 (2006).
  27. Fan, C., Xie, Y., Dong, Y., Su, Y., Upton, Z. Investigating the potential of Shikonin as a novel hypertrophic scar treatment.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22, 70 (2015).
  28. Fan, C., et al. Shikonin reduces TGF-beta1-induced collagen production and contraction in hypertrophic scar-derived human skin fibroblas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36 (4), 985-991 (2015).
  29. Werner, S., Krieg, T., Smola, H. Keratinocyte-Fibroblast Interactions in Wound Healing.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7 (5), 998-1008 (2007).
check_url/61037?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Fan, C., Lim, L. K. P., Wu, Z., Sharma, B., Gan, S. Q., Liang, K., Upton, Z., Leavesley, D. In Vitro Model of Human Cutaneous Hypertrophic Scarring using Macromolecular Crowding. J. Vis. Exp. (159), e61037, doi:10.3791/61037 (2020).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