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소화 불량 장애 관리에 새로운 원조로 소화 불량 교육 도구

Published: June 29, 2019
doi:

Summary

이 프로토콜은 디지털 소화 불량 교육 도구의 개발 과정을 설명합니다. 충족되지 않은 요구 사항 및 문헌, 콘텐츠 개발 및 도구 구축에 대한 평가가 제공됩니다. 이 방법론은 향후 디지털 교육 도구 개발을 위한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Abstract

디지털 교육 도구는 현재 의료 분야에서 잘 확립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비약리학적으로 관리되는 장애는 자가 관리에 환자 참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발달로부터 이익을 얻게 된다. 소화 불량은 위 및 십이지장 섭동, 두뇌 창자 축 장애 및 식이 요인에서 발생 하는 조건. 행동 내정간섭은 소화 불량 처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해 참을성 있는 참여 및 동기 부여는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교육 도구의 개발 과정을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거의 없습니다. 우리는 소화 불량 교육 도구의 개발을 설명하는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평가는 첫 번째 단계이며, 그 다음에는 문헌 검색이 뒤따릅니다. 콘텐츠는 주요 테마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입력됩니다. 최종 조정은 공구의 파일럿 테스트 후에 이루어집니다. 제시된 프로토콜은 디지털 소화 불량 교육 도구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 또는 유사한 상황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Introduction

환자 교육은 건강 관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환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가능하게합니다 1. 의료 자원의 효능과 적절한 사용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현대적이고 질병별 조치가 필요합니다.

요즘 디지털 도구는 지속 가능성, 효과적인 배포 및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잠재력의 혜택을 누리면서 환자 교육의 종이 버전을 점점 더 대체하고 있습니다. 치료치료와 생물학적 기질이 결여된 만성질환의 경우, 자가관리에 종사하는 환자의동기부여를 위해 교육이 필수적이다 2,3. 소화 불량은 종종 장기 불만 발생 하는 조건. 증상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남아 있지만, 증거는 1) 위 팽창에 대한 과민증, 2) 식사에 대한 반응에서 부적절한 팽창을 일으키는 등 세 가지 주요 병리학적 메커니즘을 나타냅니다, 3) 지연 위 비우기4. 또한 십이지장 교란, 뇌 -창자 장애 및 식이 요인이 역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5. 주요 증상은 prandial 충만 후 포함, 상복부 통증, 초기 포만, 및 상복부 굽기. 소화 불량 환자에서 위 위장 (GI) 내시경 검사는 70 % 이상의 증상의 원인을 밝히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기능성 소화 불량이라고합니다. 소화 불량에 대한 약리학적 치료 옵션은 제한되어 있으며, 종종 환자에게 보완및대체 요법으로 해결하도록 유도하는 6,7. 소화 불량 환자의 삶의 질은 종종 소화 불량이 수면 의 질 장애 및 작업 생산성 의 손실과같은 수반되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소된다 8. 소화 불량 관리 혜택 활성 환자 참여에서 혜택, 행동 내정간섭은 소화불량 치료의 주요 구성 요소로 9,10. 이 내정간섭은 환자에게서 상당한 노력을 요구합니다, 개인화되고 상호 작용하는 지원에 의해 촉진될 수 있는.

소화 불량의 정확한 관리는 의료 결과를 개선하고 의료 자원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소화 불량에 대한 위 위장 (GI) 내시경 검사는 진단 수율이11로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잘 알려진 형태의 과용입니다. 상부 GI 내시경 검사의 수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주로의사 교육 또는 약물 기반 증상 감소(12)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화 불량의 원인에 대한 불확실성은 종종 환자에게 만족스럽지 않으며 진단 테스트는 결과적으로 과잉으로 수행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인에 대한 환자의 교육, 치료 옵션, 보수적 인 관리는 상부 GI 내시경 검사의 수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입니다.

디지털 도구는 잠재적으로 환자 교육을위한 훌륭한 플랫폼을 제공하지만, 질병 관리에 환자 채택 및 후속 환자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의 몇 가지 기능이 필요합니다13. 디지털 교육의 성공은 주로 정보 전송을 최적화하기 위해 취한 개발 프로세스와 조치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교육 도구의 개발 프로세스는 자주 게시되지 않으며, 유효성 및 안전성의복제, 진행 및 평가를 저해합니다 1,14.

환자 중심의 디지털 교육 도구의 개발에 대한 자세한 설명 과 평가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미래의 교육 도구 개발을위한 템플릿 역할을하기 위해, 우리의 소화 불량 교육 도구의 개발을 설명합니다.

Protocol

이 프로토콜에 설명 된 모든 절차는 Radboud 대학 의료 센터 기관 검토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파일 번호. 2016-3074). 1. 예비 연구 소화 불량 관리에서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평가하는 포커스 그룹 소화 불량 환자와 일반 개업의와 초점 그룹에 대한 구조를 만듭니다. 포커스 그룹을 수행합니다. 정보의 포화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 포커스 그룹을 계속 수행?…

Representative Results

포커스 그룹의 결과 환자 네트워크(n=2) 또는 외래 진료소(n=3)를 통해 모집된 5명의 환자가 포커스 그룹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다. 모든 포커스 그룹 환자는 위장병 전문의의 의견에 기초하여 소화 불량으로 진단되었다. 포함된 환자의 특성은 표1에 제시되어 있다. <p class="jove_content" fo:keep-together.withi…

Discussion

위에서 언급 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개발 된 디지털 소화 불량 교육 도구는 환자와 의사가 소화 불량 을 관리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교육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환자 참여를 자극하기 위해 배포 될 수있다, 의료 자원의 부적절한 사용을 줄이면서 건강 결과를 개선.

유사한 절차는 섬유근육통 앱(15)의 개발을위해 기술되었다. 소화 불량?…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소화 불량 교육 도구의 개발은 네덜란드 대학 의료 센터연맹의 ‘할 일 또는 하지 말아야 할’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네덜란드 보건 연구 개발 기구(ZonMw)로부터 받은 보조금으로 지원되었습니다. (NFU)를 참조하십시오. 우리는 또한 Medify bv의 모든 직원에게 감사드립니다. 지원, 장비 및 전문 지식을 위해. 또한 모든 참가자에게 감사드립니다.

Materials

Dyspepsia e-learning Dyspepsia e-learning Digital educational tool for dyspepsia management
Paper Food Diary Any Schedule to record food consumption and symptoms
Computer Any A computer or tablet should be used to complete the e-learning
Medify Content Management System Medify BV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o process the e-learning content

References

  1. Barello, S., et al. eHealth for Patient Engagement: A Systematic Review. Frontiers in Psychology. 6, 2013 (2015).
  2. Halpert, A.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Provider Interaction and Patient Education.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7 (1), (2018).
  3. Schulz, P. J., Rubinelli, S., Zufferey, M. C., Hartung, U. Coping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Designing and Testing the Online Tool ONESELF.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5 (4), 625-645 (2010).
  4. Tack, J., Bisschops, R., Sarnelli, G.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127 (4), 1239-1255 (2004).
  5. Talley, N. J. Functional dyspepsia: new insights into pathogenesis and therapy.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31 (3), 444-456 (2016).
  6. Chiarioni, G., Pesce, M., Fantin, A., Sarnelli, 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 in functional dyspepsia. 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Journal. 6 (1), 5-12 (2018).
  7. Ford, A. C., Marwaha, A., Lim, A., Moayyedi, P. What is the preval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endoscopic findings in subjects with dyspeps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8 (10), 830-837 (2010).
  8. Matsuzaki, J., et al. Burden of impaired sleep quality on work productivity in functional dyspepsia. 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Journal. 6 (3), 398-406 (2018).
  9. Keefer, L., Palsson, O. S., Pandolfino, J. E. Best Practice Update: Incorporating Psychogastroenterology Into Management of Digestive Disorders. Gastroenterology. 154 (5), 1249-1257 (2018).
  10. Feinle-Bisset, C., Azpiroz, F.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in functional dyspepsia.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0 (3), 150-157 (2013).
  11. Manes, G., Balzano, A., Marone, P., Lioniello, M., Mosca, S. Appropriateness and diagnostic yield of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n an open-access endoscopy system: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ased on the Maastricht guidelines.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16 (1), 105-110 (2002).
  12. de Jong, J. J., Lantinga, M. A., Drenth, J. P. Prevention of overuse: A view o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5 (2), 178-189 (2019).
  13. Baldwin, J. L., Singh, H., Sittig, D. F., Giardina, T. D. Patient portals and health apps: Pitfalls, promises, and what one might learn from the other. Healthcare (Amsterdam). 5 (3), 81-85 (2017).
  14. Sleurs, K., et al. Mobile health tool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llergy. , (2019).
  15. Yuan, S. L. K., Marques, A. P. Development of ProFibro – a mobile application to promote self-care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Physiotherapy. 104 (3), 311-317 (2018).
  16. Huckvale, K., Morrison, C., Ouyang, J., Ghaghda, A., Car, J. The evolution of mobile apps for asthma: an updated systematic assessment of content and tools. BMC Medicine. 13, 58 (2015).
  17. Mayer, R. E.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evidence-based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multimedia instruction. American Psychologist. 63 (8), 760-769 (2008).
  18. Zhang, D. Interactive Multimedia-Based E-Learning: A Study of Effectivenes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 (3), 149-162 (2005).
  19. Northrup, P. A framework for designing interactivity into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41 (2), 31-39 (2001).
  20. Stalmeijer, R. E., McNaughton, N., Van Mook, W. N. Using focus group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MEE Guide No. 91. Medical Teacher. 36 (11), 923-939 (2014).
check_url/59852?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de Jong, J. J., Lantinga, M. A., Drenth, J. P. The Dyspepsia Educational Tool As a Novel Aid in Dyspepsia Management. J. Vis. Exp. (148), e59852, doi:10.3791/59852 (2019).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