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뉴런-희소돌기아교세포 상호작용 모델링을 위한 만능줄기세포로부터 인간 뉴런 및 희소돌기아교세포 생성

Published: November 09, 2020
doi:

Summary

신경 퇴행의 뉴런-아교 세포 상호 작용은 부적절한 도구와 방법으로 인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는 인간 만능 줄기 세포에서 유도 뉴런,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세포 및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얻기 위한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설명하고 알츠하이머병에서 세포 유형 특이적 기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이러한 방법의 가치에 대한 예를 제공합니다.

Abstract

알츠하이머 병 (AD) 및 기타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희소 돌기 부전은 일반적인 초기 병리학 적 특징이지만 특히 뇌의 회백질에서 질병 발달 및 진행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의 기능 장애는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 세포(OPC)의 수초화 결핍 및 자가 재생 장애로 특징지어집니다. 이 두 가지 결함은 병리학의 축적을 따라 뉴런과 희소돌기아교세포 사이의 상호 작용이 중단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합니다. OPC는 CNS 발달 동안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생성합니다. 성숙한 뇌 피질에서 OPC는 주요 증식 세포 (전체 뇌 세포의 ~ 5 %를 구성)이며 신경 활동 의존적 방식으로 새로운 미엘린 형성을 제어합니다. 이러한 뉴런-희소돌기아교세포 통신은 적절한 도구의 부족으로 인해 특히 AD와 같은 신경퇴행성 상태의 맥락에서 상당히 과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우리 그룹과 다른 사람들은 인간 만능 줄기 세포에서 개별적으로 기능성 뉴런과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생성하기 위해 현재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을 개선하기 위해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이 원고에서는 뉴런-희소돌기아교세포 연결을 모델링하기 위한 공동 배양 시스템의 구축을 포함하여 최적화된 절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우리의 예시적인 결과는 뇌 아밀로이드증 및 시냅스 무결성에 대한 OPC/희소돌기아교세포의 예상치 못한 기여를 시사하고 AD 연구를 위한 이 방법론의 유용성을 강조합니다. 이 환원 주의적 접근법은 뇌 내부의 고유 한 복잡성에서 특정 이종 세포 상호 작용을 해부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신경 퇴행의 발병 기전에서 희소돌기전 결함에 대한 향후 연구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ntroduction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세포(OPC),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및 그 사이의 전이 유형을 포함한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는 신경 발달 및 노화 전반에 걸쳐 중추신경계의 적절한 작동 및 유지를 위한 많은 중요한 기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인간 뇌 세포1의 주요 그룹을 구성합니다.2,3,4 .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백질에서 신경 활동 전달을 촉진하고 축삭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미엘린을 생성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OPC는 수초화가 부족한 회백질에 풍부하고(~5%) 학습 행동 및 기억 형성을 제어하는 활동 의존적 신호 기능을 수행합니다. 5,6,7,8 . 알츠하이머병(AD) 및 기타 연령 관련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기전에서 희소돌기아세포 기능 및 기능 장애가 어떻게 연구되었는지는 연구되지 않았습니다9. 적절한 모델 시스템의 부적절 함과 실험 경로를 안내하는 일반 지식의 부족이 이러한 격차의 주요 원인입니다.

배아 줄기 (ES) 및 유도 만능 줄기 (iPS) 세포를 포함한 만능 줄기 세포로부터 인간 뇌 세포를 유도하는 최근의 돌파구에 비추어 볼 때, 현대 유전자 편집 도구와 결합 된 이러한 세포 모델은 뇌에서 세포 상호 작용의 복잡한 연결을 처리하는 강력한 도구로 등장했으며 인간 특이 적 질병 증상을 입증 할 수 있습니다10, 11. 개별 뇌 세포 유형이 동일한 AD 촉진 조건12,13에 직면하여 뚜렷하고 심지어 상충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이 줄기 세포 방법론은 뇌 세포 유형 모음에서 집계 판독 값만을 제공하는 확립 된 생체 내 또는 시험관 내 모델을 사용하여 이전에 놓친 세포 유형 별 정보를 고유하게 제공합니다. 지난 10년 동안 ES/iPS 세포의 트랜스분화 또는 다른 말기 분화 세포 유형(예: 섬유아세포)에서 직접 전환하여 인간 뉴런을 생성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많이 개발되었습니다.14,15. 특히, 주요 신경인성 전사 인자(예를 들어, 뉴로게닌 2, Ngn2)16를 인간 만능 줄기 세포에 적용하면 신경교 세포와 공배양할 필요 없이 순수 배양을 위한 잘 특성화된 뉴런 세포 유형의 균질한 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12,17,18. 유도 된 인간 희소 돌기 아교 세포의 경우, 시간과 자원에서 광범위한 효율성과 수요를 가진 1 차 대응 물과 매우 유사한 기능성 세포를 생성 할 수있는 몇 가지 발표 된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19,20,21,22,23,24,25,26,27,28 . 현재까지 이러한 프로토콜 중 어느 것도 희소돌기아교 세포가 AD 발병 기전에 어떻게 반응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데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여기에서는 인간 유도 뉴런(iN) 및 OPC/희소돌기아교세포(iOPC/iOL)의 단일 및 혼합 배양에 대한 개선된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여기에 설명된 iN 프로토콜은 널리 사용되는 Ngn2 접근법(16)에 기초하며, glia-free라는 추가적인 특징을 갖는다. 결과 iN은 균질하고 특징적인 피라미드 형태, 유전자 발현 패턴 및 전기 생리 학적 특징17,18을 갖는 피질 층 2/3 흥분성 뉴런과 매우 유사합니다 (그림 1). 만능 줄기 세포의 직접 분화의 근본적인 장벽 중 일부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저용량 디메틸 설폭 사이드 (DMSO) 전처리29,30의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했으며 Douvaras 및 Fossati 32의 널리 채택 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인간 ES / iPS 세포가 iOPC 및 iOL로 트랜스 분화하는 성향이 향상되었다고보고했습니다32 . 우리는 프로토콜을 더욱 단순화하고 강력한 분화 촉진 화합물인 클레마스틴 7,33,34를 통합하여 희소돌기아교 성숙 과정을 가속화했습니다. 그 결과(그림 2), iOPC는 2주 내에 생성될 수 있고(마커 O4에 대해 ~95% 양성) 4주 내에 iOL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성숙한 마커 MBP 및 PLP1 발현). 흥미롭게도, 우리는 iOPCs만이 놀라운 양의 아밀로이드 β (Aβ)를 분비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는 희소 돌기 아교 세포35,36에서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의 풍부한 발현과 처리 프로테아제 β- 세크레타제 (BACE1)의 풍부한 발현을 보여주는 독립적 인 전사체 데이터와 일치합니다. 또한, 당사의 iN-iOPC 공동 배양 시스템은 MBP 양성 iOL 과정에 의한 축삭 외피를 촉진하고 시냅스 형성에 대한 상당한 지원을 제공합니다(그림 3). 따라서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 프로토콜은 이전에 카탈로그화된 뉴런-희소돌기아교세포 공동 배양 방법에 비해 기술적 및 생물학적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AD의 신경퇴행을 더 잘 모델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tocol

1. 인간 만능줄기세포로부터 인간 뉴런 유도 렌티바이러스 준비(~5일, 앞서 설명한 세부 프로토콜16)각 T75 플라스크에 ~100만 개의 HEK293T 세포를 플레이트하여 형질감염을 수행할 때 ~40% 합류하도록 합니다. 테트라사이클린 유도성 Ngn2 및 퓨로마이신 내성 유전자(PuroR, 동일한 TetO 프로모터 대조군 하에서), rtTA 및 3개의 헬퍼 플라스미드 pRSV-REV, pMDLg/pRRE 및 VSV-G(렌티바이?…

Representative Results

인간 만능 줄기 세포에서 인간 유도 뉴런의 직접 생성시작하는 인간 다 능성 줄기 세포가 iN 또는 iOPC / iOL의 성공적인 생성을 위해 높은 수준의 다 능성을 나타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세포는 본 원고에 기재된 유도 프로토콜 중 하나를 시작하기 전에 Oct4 및 SOX2와 같은 특정 마커에 대해 염색되어야 한다(도 1A). 인간 H1 세포는 Zhang et al.에 의해 이?…

Discussion

시냅스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수초화에 의한 염분 신호 전도를 촉진하는 물리적 및 대사적 지원 외에도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는 뉴런 5,6,7과의 빠르고 역동적인 혼선을 통해 뉴런 활동 패턴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AD 병리학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 반응은 처음에는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에 이차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이 작업은 국립 보건원 (R00 AG054616에서 YAH, T32 GM136566에서 KC), 스탠포드 의과 대학 및 Siebel Fellowship (SC에 수여)의 보조금으로 지원되었습니다. YAH는 브라운 중개 과학 연구소의 중개 신경 과학 센터의 GFL 번역 교수입니다.

Materials

Accutase STEMCELL Technologies 7920
B27 supplement ThermoFisher 17504044
bFGF ThermoFisher PHG 0266
cAMP MilliporeSigma A9501
Clemastine MilliporeSigma SML0445
DMEM/F12 medium STEMCELL Technologies 36254
DMSO ThermoFisher D12345
Doxycycline MilliporeSigma D3072
Fetal Bovine Serum ScienCell 10
H1 human ES cells WiCell WA01
Matrigel Corning 354234
mTeSR plus STEMCELL Technologies 5825
N2 supplement ThermoFisher 17502001
Neurobasal A medium ThermoFisher 10888-022
Non Essential Amino Acids ThermoFisher 11140-050
PDGF-AA R&D Systems 221-AA-010
PEI VWR 71002-812
pMDLg/pRRE Addgene 12251
Polybrene MilliporeSigma TR-1003-G
pRSV-REV Addgene 12253
Puromycin ThermoFisher A1113803
ROCK Inhibitor Y-27632 STEMCELL Technologies 72302
SAG Tocris 4366
STEMdiff Neural Progenitor Freezing Media STEMCELL Technologies 5838
STEMdiff SMADi Neural Induction Kit STEMCELL Technologies 8581
T3 triiodothyronine MilliporeSigma T6397
Tempo-iOlogo: Human iPSC-derived OPCs Tempo BioScience SKU102
TetO-Ng2-Puro Addgene 52047
VSV-G Addgene 12259

References

  1. Pelvig, D. P., Pakkenberg, H., Stark, A. K., Pakkenberg, B. Neocortical glial cell numbers in human brains. Neurobiology of Aging. 29 (11), 1754-1762 (2008).
  2. Barres, B. A. The mystery and magic of glia: a perspective on their roles in health and disease. Neuron. 60 (3), 430-440 (2008).
  3. De Strooper, B., Karran, E. The cellular phase of Alzheimer’s disease. Cell. 164 (4), 603-615 (2016).
  4. Monje, M. Myelin plasticity and nervous system functio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41, 61-76 (2018).
  5. Hughes, E. G., Orthmann-Murphy, J. L., Langseth, A. J., Bergles, D. E. Myelin remodeling through experience-dependent oligodendrogenesis in the adult somatosensory cortex. Nature Neuroscience. 21 (5), 696-706 (2018).
  6. Gibson, E. M., et al. Neuronal activity promotes oligodendrogenesis and adaptive myelination in the mammalian brain. Science. 344 (6183), 1252304 (2014).
  7. Pan, S., Mayoral, S. R., Choi, H. S., Chan, J. R., Kheirbek, M. A. Preservation of a remote fear memory requires new myelin formation. Nature Neuroscience. 23 (4), 487-499 (2020).
  8. Thornton, M. A., Hughes, E. G. Neuron-oligodendroglia interactions: Activity-dependent regulation of cellular signaling. Neuroscience Letters. 727, 134916 (2020).
  9. Ettle, B., Schlachetzki, J. C. M., Winkler, J. Oligodendroglia and myeli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more than just bystanders. Molecular Neurobiology. 53 (5), 3046-3062 (2016).
  10. Essayan-Perez, S., Zhou, B., Nabet, A. M., Wernig, M., Huang, Y. A. Modeling Alzheimer’s disease with human iPS cells: advancements, lessons, and applications. Neurobiology of Disease. 130, 104503 (2019).
  11. Li, L., et al. GFAP mutations in astrocytes impair oligodendrocyte progenitor proliferation and myelination in an hiPSC model of Alexander disease. Cell Stem Cell. 23 (2), 239-251 (2018).
  12. Lin, Y. T., et al. APOE4 causes widespread molecular and cellular alterations associated with Alzheimer’s disease phenotypes in human iPSC-derived brain cell types. Neuron. 98 (6), 1294 (2018).
  13. TCW, J., et al. Cholesterol and matrisome pathways dysregulated in human APOE ε4 glia. bioRxiv. , (2019).
  14. Ang, C. E., Wernig, M. Induced neuronal reprogramming. Journal of Comparitive Neurology. 522 (12), 2877-2886 (2014).
  15. Penney, J., Ralvenius, W. T., Tsai, L. H. Modeling Alzheimer’s disease with iPSC-derived brain cells. Molecular Psychiatry. 25 (1), 148-167 (2020).
  16. Zhang, Y., et al. Rapid single-step induction of functional neuron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Neuron. 78 (5), 785-798 (2013).
  17. Huang, Y. A., Zhou, B., Nabet, A. M., Wernig, M., Sudhof, T. C. Differential signaling mediated by ApoE2, ApoE3, and ApoE4 in human neurons parallels Alzheimer’s Disease risk. Journal of Neuroscience. 39 (37), 7408-7427 (2019).
  18. Huang, Y. A., Zhou, B., Wernig, M., Sudhof, T. C. ApoE2, ApoE3, and ApoE4 Differentially Stimulate APP Transcription and Abeta Secretion. Cell. 168 (3), 427-441 (2017).
  19. Yang, N., et al. Generation of oligodendroglial cells by direct lineage conversion. Nature Biotechnology. 31 (5), 434-439 (2013).
  20. Douvaras, P., et al. Efficient generation of myelinating oligodendrocytes from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atients b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tem Cell Reports. 3 (2), 250-259 (2014).
  21. Lee, E. H., Park, C. H. Comparison of reprogramming methods for generation of induced-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Biomolecules & Therapeutics (Seoul). 25 (4), 362-366 (2017).
  22. Ehrlich, M., et al. Rapid and efficient generation of oligodendrocytes from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sing transcription facto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4 (11), 2243-2252 (2017).
  23. Rodrigues, G. M. C., et al. Defined and scalable differentiation of human oligodendrocyte precursor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in a 3D culture system. Stem Cell Reports. 8 (6), 1770-1783 (2017).
  24. Hu, B. Y., Du, Z. W., Li, X. J., Ayala, M., Zhang, S. C. Human oligodendrocytes from embryonic stem cells: conserved SHH signaling networks and divergent FGF effects. Development. 136 (9), 1443-1452 (2009).
  25. Izrael, M., et al. Human oligodendrocytes derived from embryonic stem cells: Effect of noggin on phenotypic differentiation in vitro and on myelination in vivo. Molecular and Cellular Neuroscience. 34 (3), 310-323 (2007).
  26. Yamashita, T., et al. Differentiation of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from dissociated monolayer and feeder-free cultured pluripotent stem cells. PLoS One. 12 (2), 0171947 (2017).
  27. Wang, S., et al. Human iPSC-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can myelinate and rescue a mouse model of congenital hypomyelination. Cell Stem Cell. 12 (2), 252-264 (2013).
  28. Chanoumidou, K., Mozafari, S., Baron-Van Evercooren, A., Kuhlmann, T. Stem cell derived oligodendrocytes to study myelin diseases. Glia. 68 (4), 705-720 (2020).
  29. Chetty, S., et al. A simple tool to improve pluripotent stem cell differentiation. Nature Methods. 10 (6), 553-556 (2013).
  30. Li, J., et al. A transient DMSO treatment increases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through the Rb family. PLoS One. 13 (12), 0208110 (2018).
  31. Sambo, D., Li, J., Brickler, T., Chetty, S. Transient treatment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with DMSO to promote differentiation.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JoVE. (149), (2019).
  32. Douvaras, P., Fossati, V. Generation and isolation of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Nature Protocols. 10 (8), 1143-1154 (2015).
  33. Mei, F., et al. Micropillar arrays as a high-throughput screening platform for therapeutics in multiple sclerosis. Nature Medicine. 20 (8), 954-960 (2014).
  34. Madhavan, M., et al. Induction of myelinating oligodendrocytes in human cortical spheroids. Nature Methods. 15 (9), 700-706 (2018).
  35. Zhang, Y.,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genitor and mature human astrocytes reveals transcription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with mouse. Neuron. 89 (1), 37-53 (2016).
  36. Grubman, A., et al. A single-cell atlas of entorhinal cortex from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reveals cell-type-specific gene expression regulation. Nature Neuroscience. 22 (12), 2087-2097 (2019).
  37. Goldman, S. A., Kuypers, N. J. How to make an oligodendrocyte. Development. 142 (23), 3983-3995 (2015).
  38. Behrendt, G., et al. Dynamic changes in myelin aberrations and oligodendrocyte generation in chronic amyloidosis in mice and men. Glia. 61 (2), 273-286 (2013).
  39. Patzke, C., et al. Neuromodulator signaling bidirectionally controls vesicle numbers in human synapses. Cell. 179 (2), 498-513 (2019).
  40. Piao, J., et al.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s remyelinate the brain and rescue behavioral deficits following radiation. Cell Stem Cell. 16 (2), 198-210 (2015).
  41. Keirstead, H. S., et al.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 transplants remyelinate and restore locomo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Neuroscience. 25 (19), 4694-4705 (2005).
  42. Kim, D. S., et al. Rapid generation of OPC-like cell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for treating spinal cord injury.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49 (7), 361 (2017).
check_url/61778?article_type=t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Assetta, B., Tang, C., Bian, J., O’Rourke, R., Connolly, K., Brickler, T., Chetty, S., Huang, Y. A. Generation of Human Neurons and Oligodendrocyte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for Modeling Neuron-Oligodendrocyte Interactions. J. Vis. Exp. (165), e61778, doi:10.3791/61778 (2020).

View Video